후보 35명 전과 1차 공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중앙선관위는 6일부터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nec.go.kr)에 16대 총선 출마자들의 금고(禁錮)형 이상의 전과를 사상 처음으로 공개하기 시작했다.

여야는 후보들의 납세.병역.재산에 이은 전과기록 공개가 선거에 미칠 파문을 의식, 소속후보의 관련내용에 대한 해명과 상대당 후보의 도덕성 추궁 등 대책마련에 들어갔다.

1차 발표는 65개 선거구 후보 2백77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이들 가운데 26개 선거구 35명(12.6%)이 전과기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39개 선거구는 전과후보가 없다. 선관위는 7일까지 전체후보 1천1백78명(지역구 1천37명.전국구 1백39명)의 전과기록을 공개한다.

▶선관위 1차 공개 내용은 (http://www.joins.com/series/0413/0407_04.html)에서 볼 수 있다.

◇ 전과기록 공개〓1차 대상자 중 강원 원주의 민주당 이창복(李昌馥.보안법 위반 등 4회)후보를 포함, 시국관련 전과자가 13명(37%)으로 집계됐다.

전남 해남-진도의 무소속 이석재(李碩在)후보는 폭력 등 다섯차례의 전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과기록에는 상해치사.폭행.수뢰.간통.횡령.무고 등이 포함돼 있으며 일반형사범 또는 파렴치 전과의 경우 해당 후보를 대상으로 한 자격시비가 가열될 전망이다.

정당별로는 민주당 11명.민국당 5명.자민련 4명.한나라당 3명.민주노동당 2명.한국신당 1명의 순이다. 무소속은 9명이다.

전과기록이 공개된 후보들은 "민주화 투쟁을 하다 얻은 기록" 또는 "권력의 표적사정 때문" 이라고 주장했다.

◇ 여야 대책마련〓민주당은 시국(時局)전과가 있는 후보들에 대해 사전공개와 해명을 지시하는 한편 공개범위를 모든 전과기록으로 확대하는 법개정 추진방침을 밝혔다.

한나라당은 "전과기록의 분리공개는 파문을 확대하기 위한 여권의 입김 탓" 이라고 주장하고 "김일성(金日成)을 찬양한 주사파와 민주화운동 경력은 구별돼야 한다" 고 말했다.

자민련은 벌금형 이상의 모든 전과기록 공개를 촉구했다. 민국당은 "문제있는 후보들에 대해서는 출당 등의 조치를 취하겠다" 고 밝혔다.

김교준.이철희.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