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틴틴 경제학] 지폐속의 일화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7면

용돈으로 받은 지폐가 있다면 한번 꺼내보세요. 우리나라 돈 천원과 5천원, 만원짜리 지폐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지폐에 인쇄된 초상화가 중앙이 아니라 오른쪽에 있다는 것입니다.

1956년에 만들어진 5백환짜리 지폐에는 당시 이승만 대통령 초상이 중앙에 새겨져 있었죠. 그런데 이대통령이 "내 얼굴을 어떻게 마음대로 접을 수 있느냐" 며 화를 냈고, 그 뒤 우리나라 지폐의 초상화는 모두 한쪽으로 비켜나게 됐답니다.

지폐에 얼굴이 실린다고 다 좋은 것은 아닙니다.

프랑스의 황제 루이16세는 자신의 초상화를 지폐에 새겨 넣었다가 그 바람에 목숨을 잃었답니다.

황제 자리에서 쫓겨나 마부로 변장하고 외국으로 도망치던 루이16세는 지폐에 그려진 그의 얼굴을 알아본 농부에게 붙잡혔답니다.

화폐의 등장 인물은 어떻게 뽑을까요? 여러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 정부가 결정하지만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아 여간 골치가 아프지 않답니다.

우리나라 만원권 지폐에는 원래 불국사와 석굴암을 새기기로 하고 대통령도 찬성했답니다. 그러나 '불교 색채가 너무 강하다' 며 다른 종교단체에서 반대하는 바람에 결국 세종대왕으로 바꿨습니다.

72년에 선보인 5천원권 지폐의 이율곡 선생 초상화는 처음에는 콧날이 오똑하고 눈매가 날카로왔어요. 그 때까지 우리나라의 화폐 기술이 뒤떨어져 영국에 부탁하는 바람에 영국 기술자가 서양인을 닮은 율곡 선생을 그렸기 때문이죠. 율곡 선생 초상화는 그 후 5년만에 지금의 얼굴로 돌아왔답니다.

그러나 지금은 우리나라의 화폐기술이 발달해 다른 나라의 돈을 대신 찍어주고 수출도 한답니다.

화폐에는 역사적 인물이나 유명한 건물만 들어가는 게 아닙니다.

프랑스는 93년에 오십프랑짜리 지폐를 만들면서 여러분도 잘아는 소설 '어린 왕자' 의 앙증맞은 그림을 새겨넣어 국민들의 사랑을 받았어요.

요즘에는 씀씀이가 커지면서 5만원.10만원 짜리 돈을 만들어야 한다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값비싼 상품을 사려면 만원권을 잔뜩 갖고 다녀야 하므로 불편하다는 이유에서입니다. 그러나 너무 높은 금액의 화폐를 발행하면 낭비가 심해져 물가를 부추길 수도 있습니다.

또 지폐는 수표나 신용카드와는 달리 사용 흔적이 전혀 남지 않아 나쁜 사람들이 큰 금액의 지폐를 이용해 범죄를 숨기기도 쉽겠죠.

지금까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금액의 화폐는 1924년 독일이 발행한 1백조(兆) 마르크짜리 지폐였답니다.

그러나 정작 이 돈으로 빵 2kg을 살 수가 없었어요. 독일이 전쟁에서 지는 바람에 물가가 어마어마하게 올랐기 때문이지요.

경제의 실력이 돈의 가치를 뒷받침해주지 않으면 화폐는 쓸모없는 종이조각이 되버린다는 교훈을 가르쳐주는 것이죠. '

표재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