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개련 명단 발표…'3진' 29명 충격클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정치개혁시민연대도 27일 '유권자가 알아야 할 15대 국회의원' 을 발표, 바야흐로 시민단체의 '명단 정국' 이 본격화한 국면이다.

이번 대상은 87명으로 경실련과 총선시민연대의 중간선. 총선연대와의 차별화를 노려서인지 '철새 정치인' 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미 두차례에 걸쳐 '강펀치' 를 맞은 정치권은 "그럴 줄 알았다" 며 애써 외면하는 모습이지만 나름대로 충격파는 있을 것 같다.

특히 경실련·총선연대의 명단에도 중복 포함된 29명(3진 정치인)에게는 총선가도에 '덫' 이 될 전망이다.

정개련은 도덕성·의정활동·품위유지·전근대적 정치행태 등 17개 자체 기준을 제시했다.

이 중에서도 ▶선거법 위반이나 뇌물수수 등의 전과사실▶유권자의 뜻을 무시하고 당적을 바꾼 경우▶지역정서를 자극하는 발언 전력 등을 중요 기준으로 삼았다고 밝혔다.

여기에 ▶인사 개입이나 부당한 압력 행사 등 지위.특권 남용▶국정감사 모니터 방청불허 등 의정활동의 투명성 저해▶국회 본회의나 상임위에서의 비이성적 발언이나 폭력행위 등에도 가중치를 부여했다.

정개련은 또 자체 '의정평가단' 의 모니터링 결과와 '정치비리 고발센터' 에 제보된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해 12월부터 선정작업을 벌여왔다고 밝혔다.

정개련측은 "명단 공개는 유권자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우선적인 목표이기 때문에 각 지역 등에서 펼쳐지는 낙선운동에는 참여하지 않을 계획" 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정개련은 이날 오전 명단을 89명이라고 발표했다가 해당 의원들의 항의를 받고 부랴부랴 오후에 87명으로 정정하는 소동을 빚었을 뿐만 아니라 일부 의원들에 대해서는 전과사실·폭력적 언동·지위특권 남용 등의 적용 기준이 확인 결과 사실이 아니라며 뒤늦게 삭제하는 바람에 신뢰성에 커다란 흠집을 남겼다.

정개련은 또 한차례 이상 당적을 변경한 의원을 이른바 '철새 정치인' 으로 분류, 40명 이상을 포함시켰으나 이들 의원은 '지역 주민의 요구' 나 '정치적 소신' 에 따랐을 뿐이라며 강하게 항의하기도 했다.

여기에 인구비례 등을 고려하지 않고 정개련 회원 30여명과 내부 전문가들의 검증만으로 명단을 선정한데다 공개되지 않은 내부 모니터링 결과와 고발센터에 접수된 제보 내용을 참고자료로 사용해 객관성이 결여됐다는 지적도 있다.

한편 총선연대 장원(張元)대변인은 "직능·지역단체들이 명단을 남발할 경우 시민들이 혼란을 겪게 되는 만큼 우후죽순식 발표는 지양돼야 한다" 며 "이번 주중 공선협·경실련·정개련 실무자들과 만나 4월 총선에서 연대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 이라고 말했다.

김성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