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대결 승부는 수도권서 결판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선거법 협상 마무리로 4월 총선의 최대 격전지인 수도권의 비중이 더욱 커졌다.

역대 선거에서 여야가 가장 심혈을 기울여온 승부처인데다 이번 협상으로 지역구 의석수가 96석에서 1백5석으로 늘게됐기 때문이다.

늘어난 9개 '무주공산(無主空山)' 의 점령을 위해 여야가 모든 화력을 쏟아부을 태세다.

여야는 이들 지역이 분당.고양.용인 등 신도시와 수원.의정부.남양주 등 위성도시여서 상대적으로 젊은 유권자들이 밀집한 곳으로 파악한다.

그들의 표를 잡아끌 후보를 내보내기 위해 경쟁력 있는 인물을 영입하려는 경쟁이 막판까지 치열할 전망이다.

이들 지역의 분구가 확정되면서 한나라당쪽이 좀더 자신감을 내비친다.

서울 노원을(임채정.국민회의)과 인천서(조한천.국민회의)를 제외한 7곳 모두가 15대 총선때 한나라당 당선지역이었기 때문. 성남분당(오세응).고양덕양(이국헌)은 여전히 한나라당 지역이고, 남양주(이성호).의정부(홍문종).수원권선(김인영).용인(이웅희)도 정권교체 뒤 한나라당에서 국민회의 또는 무소속으로 당적을 바꾼 곳이다.

이에 대해 여권, 특히 민주당은 인물론으로 승부한다는 입장이다.

수도권의 경우 비록 중진의원들이라도 당선이 불투명하면 영입파로 과감히 교체한다는 방침이 서 있다.

아직 조직책 발표를 하지 않은 서울 중.서부지역 몇몇 인사들이 대상으로 거론된다.

여권은 과거 부진했던 경기북부지역에도 기대를 건다.

준(準)접경지역으로 여당지지 성향이라는 점, 또 햇볕정책으로 인한 남북교류 희망심리 등으로 이번엔 싸워볼 만하다는 것이다.

김석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