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발표 늦어졌나] 개각 막판까지 진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1.13 개각' 은 막판까지 진통과 반전(反轉)을 거듭했다.

이 바람에 이날 오후 4시쯤으로 예정됐던 개각 발표는 6시로 미뤄졌다.

당초 청와대는 "국회에서 총리 임명동의안만 통과되면 발표할 수 있다" 고 예고했다.

그동안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박태준(朴泰俊)총리로부터 제청을 받는 형식으로 개각 인선에 대한 협의를 마친 상태였기 때문에 바로 공개할 수 있다는 설명이었다.

그러나 개각 대상에 포함됐던 장관들 가운데 일부가 출마를 않겠다고 버티는 바람에 개각의 틀을 바꿀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 총선 총동원령 차질〓청와대와 국민회의는 4.13 총선이 공동여당의 운명을 가르는 승부처로 보고 당선 가능성이 있는 장관을 후보로 내보내기 위해 집중 설득을 해왔다.

특히 이들을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에 내세우려 했다. 그러나 13일 오전까지 설득을 계속했는데도 영입 대상 장관들은 난색을 표시했다.

총선 투입 대상으로 꼽힌 사람은 강봉균(康奉均)재정경제.진념(陳稔)기획예산처.남궁석(南宮晳)정보통신.이상룡(李相龍)노동부장관 등 4명. 이 가운데 康장관은 과천청사가 있는 과천-의왕에서 출마하기로 마음을 굳혀 쉽게 후임 인선에 들어갈 수 있었다.

그러나 나머지 장관들의 경우 출마 지역구, 또는 정치보다 전문분야에서 일하겠다는 의지 때문에 잔류를 희망했다.

그럼에도 金대통령은 직접 이들을 설득하는 데 나서지는 않았다.

"총선도 중요하지만 재임 중 올해가 국정운영의 가장 중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하고 있는 金대통령으로서는 전문성을 가진 사람을 선거판으로만 내모는 것이 내키지 않은 것 같다" 고 청와대 관계자는 설명했다. 또 자칫 대통령의 선거개입 시비가 벌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 개각 규모〓개각이 중폭(中幅)에서 소폭(小幅)으로 바뀜에 따라 金대통령은 13일 오후 朴총리와 다시 인선문제를 협의했다.

金대통령은 이날 오후 5시30분 朴총리를 청와대로 불러 임명장을 줬다. 그리고는 곧바로 인선문제에 대해 마지막 손질을 했다.

그러나 경제개혁의 지속적 추진이라는 방침에 따라 정리한 金대통령의 인선 구상이 아무런 손질없이 그대로 채택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개각의 특징은 개혁의 지속적 추진에 맞춰졌다" 고 강조했다. "실물경제에 밝고, 추진력 있는 朴총리를 중심으로 그동안 金대통령의 경제개혁 추진에 앞장섰던 인물들을 중용한 것도 그 때문" 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당초 예상과 달리 개각폭이 줄어듦에 따라 '밀레니엄 개각' 이라는 의미는 무색하게 됐다. 때문에 4.13 총선이 끝나면 그 결과에 따른 정국 구상에 맞춰 대대적인 당정 개편이 있을 것 같다고 이 관계자는 전망했다.

김진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