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시민연대 출범…앞으로의 과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총선시민연대가 성공하려면 적어도 두가지 전제가 필요하다.

하나는 공천반대 리스트 선정과정의 공정성.객관성을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다.

또 다른 과제는 4백여 단체가 넘는 참가단체들의 힘을 한데 결집시켜 향후 정치권 등의 공세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 어떤 선정과정 거치나〓총선연대측은 "공천 부적격 정치인의 숫자보다 선정과정에서의 공정성.객관성 확보가 중요하다" 고 밝혔다.

이는 경실련이 명단을 두차례나 수정하면서 스스로 공정성에 흠집을 남겼던 선례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의지다.

리스트 선정과정은 먼저 공동사무국이 시민단체별로 수집한 의원의 국정활동 자료와 언론보도 내용을 종합해 최종발표 숫자의 3배수를 추천한다.

이어 집행위원회는 정책자문단.자문변호인단과의 협의를 거쳐 의원들에 대한 평가서를 작성, 상임공동대표단.상임공동집행위원장에게 전달한다.

이와 함께 여론조사기관인 갤럽이 연령별.계층별.성별로 전국에서 선정한 1백인으로 구성된 '유권자 1백인 위원회' 가 심의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공천 부적격자 리스트는 상임공동대표단의 추인을 받게 된다.

◇ 어떤 시민단체가 참여하나〓총선연대에는 전국 10개 권역에서 총 4백12개 단체가 참여해 그 규모가 전례가 없을 정도로 크다.

무엇보다 참여연대.환경연합.한국여성단체연합.녹색연합.전교조 등 지난 10여년간 시민운동의 중추를 담당했던 단체들이 대거 동참하고 있다.

하지만 총선연대측이 "낙선운동이란 취지에만 공감하면 어느 시민단체든 가입을 허용했다" 고 밝힌데서 드러나듯이 지나치게 몸집 부풀리기를 시도했다는 비판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일부 단체는 회원들의 의사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고, 따라서 대표성에 문제가 생길 소지가 다분하다는 것이다.

또 K연합.J참여포럼 등은 시민단체라기보다는 '모임' 의 성격이 강해 총선연대의 내부 결속에 장애가 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하재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