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선거법 협상 조만간 매듭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길고 지루했던 정치권의 선거법 협상이 조만간 매듭을 짓게 됐다.

그런 희망적인 전망은 3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DJT 3자회동에서 나왔다. 김대중(金大中.DJ)대통령은 국민회의.자민련 의원 초청 신년모임을 마친 뒤 자민련 명예총재인 김종필(金鍾泌.JP)총리와 박태준(朴泰俊.TJ)총재를 따로 불러 30여분간 별도 회동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金대통령과 金총리는 그동안 복합선거구제를 추진해 왔던 TJ에게 이를 철회할 것을 설득한 것으로 전해졌다.

복합선거구제는 농촌에선 소선거구, 도시에선 중선거구(한 선거구 2~4명 선출)로 뽑는 혼합형 선거구제. 朴총재로선 지역정치 탈피라는 명분으로 이를 고수해 왔다.

그러나 지난해말 국민회의는 한나라당과 막후 대화를 통해 '소선구제+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에 거의 합의해 놓은 상태였다. 한나라당이 주장해온 소선거구제와 金대통령이 관심을 기울였던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의 절충안이다.

때문에 이날 DJT 회동은 "金대통령과 金총리가 TJ의 정치적 소신과 집념을 평가하는 대신, 복합선거구제를 포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설명하는 자리였다" 고 국민회의 당직자가 전했다.

특히 金총리가 "당론을 다시 규합해 달라" 는 말로 朴총재를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JP로선 10일께 자민련에 복귀하기에 앞서 복잡한 정치현안을 털어버려야 할 부담을 안고 있었다.

金대통령도 이번 주말로 예정된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와의 회담에 앞서 선거법 협상을 마무리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게다가 중앙선관위 이용훈(李容勳)위원장은 "선거법 타결이 지연되면 선거관리 자체가 불가능해 진다" 는 문제점을 제기했다.

결국 다음주초 개각때 총리를 맡을 것으로 알려진 朴총재도 복합선거구제 포기 요청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난항을 거듭하던 선거법 협상의 돌파구가 마련됐다. 여야는 임시국회 폐회일인 7일 이전에 선거법을 타결지을 것으로 알려졌다. 그 골격은 ▶지역구 의원은 소선거구(1선거구 1명 선출)로▶비례대표제 의원은 권역별(전국을 8개지역으로 분할)로 선출하는 것이다. 다만 비례대표 의원을 뽑는 방식을 놓고 1인2표제냐, 1인1표제냐(한나라당)로 나뉘어 있다. 이와 함께 선거구 통폐합 등 선거구 획정의 치열한 줄다리기는 얼마간 더 지속될 것이다.

전영기·김정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