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제주 성산포~경남 남해시 해저 광케이블 공사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해저 광케이블 공사를 놓고 제주 '지역 '주민들과 한국통신이 마찰을 빚고 있다.

한국통신은 지난 4월 2백15억원을 들여 남제주군 성산포와 경남 남해시를 잇는 2백36㎞구간에 대용량 해저광케이블을 내년 5월 놓기로 하고 최근 본격적인 공사착공에 들어갔다.

성산포와 전남 고흥간 제1.2해저 광케이블에 이어 서귀포 월드컵경기등 국제대회를 감안, 3만2백40회선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제3케이블로서 미래의 통신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는 것.

하지만 이 선로가 들어오는 제주도 남제주군 성산읍 신양리 주민들은 최근 마을총회등을 열고 사업계획의 조정을 요구하는 등 공사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해저케이블이 마을에서 운영하는 신양해수욕장을 바로 관통하도록 계획돼 주민생존권을 위협하는 것은 물론 장기적으로 전자파등의 문제로 해수욕장의 생태계 파괴등 환경오염이 우려돼 해양관광자원 소멸의 결과를 낳을 것" 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또 "그런 주장을 수차례 한국통신측에 폈지만 한국통신측이 일방적으로 합의를 묵살, 공사를 강행하고 있다" 며 최근 '해저케이블 설치저지를 위한 대책위원회' (위원장 김경택신양리장)를 조직, 지난 29일 주민집회까지 벌이는 등 공사저지 투쟁에 나설 태세다.

그러나 이에 대해 한국통신측은 적법한 절차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 사업으로 사업변경은 불가능하다는 입장. '

이에 대해 한통은 지난 7월 공사에 따른 어민피해를 우려, 어촌계와 보상문제를 매듭짓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유수면 점용허가를 받아 사업을 벌이고 있는 마당에 일부 주민들의 의견만으로 공사계획을 바꾸는 것은 곤란하다며 공사를 예정대로 강행하고 있다.

한국통신 장거리건설국 관계자는 "해녀.어민의 조업권을 고려, 어업보상을 이미 마무리지었고 주민들이 주장하는 전자파에 의한 생태계 파괴문제 역시 광케이블의 특성상 우려가능성이 없다" 며 "이미 사업이 본격화돼 사업을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고 말했다.

제주〓양성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