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민간인 징용 첫 실태조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일본 정부가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 기업에 강제 징용됐다 사망한 조선인 70만여 명(추정)의 실태 조사에 나서기로 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5일 보도했다. 유골을 반환할 수 있는지 등을 확인해 8월 말까지 한국 정부에 통보할 계획이다.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는 다음달 말 한국에서 열릴 예정인 한.일 정상회담에서 이 같은 방침을 공식적으로 밝힐 예정이다.

일본 정부가 민간인 강제징용자의 실태 조사에 나서기는 처음이다. 역사 교과서 왜곡과 독도 문제 등으로 교착상태에 빠진 한국과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일 외무성은 지난달 2차 대전 당시 징용 조선인을 탄광.공장에서 고용했던 회사와 당시 회사를 이어받은 100여 기업에 징용자 명부의 유무, 유골의 안치 장소 등을 묻는 조사표를 보냈다. 기업으로부터 회답이 오는 대로 정부가 유골 반환을 위한 조사에 본격 착수하기로 했다.

일본 정부는 또 남태평양 등지를 중심으로 진행돼온 옛 일본군의 유골 수습 사업 대상에 조선인을 포함하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우선 유족들의 해외 전몰지 방문을 지원하는 '위령 순배 사업' 대상에 한국 유족을 포함할 방침이다.

일 정부는 1969년 옛 조선인 군인.군속에 대해선 연고자가 확인될 경우 유골을 넘겨주기로 한국 정부와 합의했다. 지난 3월 말까지 총 8835위가 반환됐다.

도쿄=김현기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