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프리즘] '옷사건' 거짓말 국민의 분노 심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옷 로비' 사건으로 온 나라가 다시 한번 뜨거웠던 한 주였다. 조사 책임자인 청와대 법무비서관이 기밀을 누설한 죄로 스스로 '옷을 벗는' 코미디 같은 사건이 벌어진 것이다. 이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은 상당히 격렬했다(11건).

홍정식(서울 은평구 신사2동)씨는 "집권당과 청와대 비서실이 이번 기회에 환골탈태하지 않으면 무서운 국민적 저항에 부닥칠 것" 이라며 "즉각 관련자들을 구속해야 할 것" 이라고 목청을 높였다. 이인구(경북 대구시 지산동)씨는 "국민들은 이제 정부가 아무리 진실이라고 우겨도 새빨간 거짓말로밖에 받아들일 수 없는 참담한 지경이 됐다" 며 현 정부의 도덕성 추락을 우려했다.

한 PC통신 독자(천리안 P6549)는 "만약 위증이 업무범위에서 벗어난 수사라면 처음부터 사실을 밝히려는 의도가 없었던 건 아닌가" 라며 위증 문제의 수사도 촉구했다.

옷 로비 사건에 파묻혀 관심을 끌지 못했던 선거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비난 의견이 많았다(5건). 김춘호(광주시 화정4동)씨는 "선거법 개정이 국회의원들의 기득권 유지와 특권의식을 바탕으로 이뤄지고 있다" 며 선거법 위반에 대한 공소시효 연장을 주장했다.

한편 정부가 도로 주차공간의 불법구조물에 대해 범칙금을 부과하겠다는 발표에 반발하는 독자도 있었다.

한 인터넷 독자(marin1927)는 "전형적인 탁상행정" 이라며 범칙금 부과보다 운전자들의 성숙한 시민의식이 급선무라고 지적했다. 재시험 소동을 불러일으킨 대입수능 듣기평가에 대해 한 인터넷독자(mickybecky)는 "공정성을 위해 카세트 녹음기와 녹음테이프로 청취 평가를 치러야 한다" 는 의견을 내놓았다. 노지훈(경기도 구리시 수택동)씨는 "재시험을 못본 학생뿐만 아니라 나머지 학생에게도 손해를 보게 만든 것" 이라며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언론문건' 파동이 수그러드나 싶으면 '옷 로비' 사건이 다시 고개를 들고 이에 따른 소모적인 정쟁(政爭)이 끝도없이 계속되고 있다. 한꺼풀 벗길 때마다 새로운 '진실' 이 튀어나오는 '판도라의 상자' 는 언제쯤 바닥을 드러낼 것인가.

새 밀레니엄을 불과 30여일 앞둔 겨울 문턱에 시민들의 시름이 쌓여가는 것만 같아 안타까웠다.

이형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