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플루 의심자 내년 3월까지 거점병원 바로 가도 건보 적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2면

보건복지가족부는 신종 플루(인플루엔자A/H1N1)에 감염된 환자가 신속히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감염 의심증세가 있는 환자가 동네 의원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거점병원(병원이나 대학병원)으로 가도 건강보험 혜택을 주기로 했다. 이 제도는 내년 3월 31일까지 한시 적용된다.

지금까지는 신종 플루 의심증상이 있어도 동네 의원을 거친 뒤 거점병원을 찾아야 의료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곧바로 거점병원을 방문하면 진료비 전액을 본인이 부담했다.

이 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근로 능력이 없는 18세 미만 자와 65세 이상 노인, 중증 장애인 등 1종 환자는 거점병원을 바로 찾아도 1000원만 내면 진료를 받을 수 있다. 2종 일반 외래환자도 본인 부담률이 15%로 크게 낮아진다.

복지부는 신종 플루 확산과 관련, 25일 대책회의를 열고 현재의 ‘경계’단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국가전염병 위기관리단계는 해외에 신종 플루가 발생했을 때 ‘관심’→국내에 유입됐을 때 ‘주의’→지역사회에 전파됐을 때 ‘경계’→전국적으로 확산 징후가 있을 때 ‘심각’ 등 4단계다. 이날 질병관리본부와 중앙인플루엔자대책본부는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선제적 관리 필요성을 내세워 비상사태를 선포하자 대책회의를 열었다. 회의 참석자들은 “현재 신종 플루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지만 사망자가 20명밖에 안 돼 1000명의 사망자를 낸 미국과 다르다”고 의견을 모았다. 복지부 중앙인플루엔자대책본부 권준욱 과장은 “관리단계를 격상(심각)하는 방안은 현재로선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학생 750만 명에 대한 백신 접종이 다음 달에 시작돼 12월까지 마칠 것으로 예상된다”며 “백신은 접종한 뒤 2주가 지나야 항체가 형성되는데 공백 기간 동안 신종 플루 확산을 방지하는 데 전력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지난주(10월 12~18일) 신종 플루에 감염된 환자는 하루 평균 1573명으로 일주일 동안 1만 명의 확진환자가 발생했다. 전국 초·중·고교 중 신종 플루 환자가 발생해 휴교한 학교는 334곳이다. 이 가운데 132곳은 최근 일주일 새 휴교했다.

이와 관련, 행정안전부 고위 관계자는 “신종 플루가 빠르게 확산돼 행안부와 교육과학기술부 등 각 부처가 총력 대응하고 있다”며 “유사시를 대비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할 준비를 마친 상태”라고 말했다.

강기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