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초점] 원전사고 늑장보고 추궁-산업자원위 국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11일 한국전력을 상대로 실시된 산업자원위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들은 원전의 안전성 문제를 강도높게 추궁했다.

특히 의원들은 지난 4일 월성 3호기 중수 누설사고에서 나타난 한전측의 늑장대응과 피해 축소 보고를 집중 질타했다.

국민회의 박광태(朴光泰), 자민련 이정무(李廷武)의원은 "사고 발생 시간이 4일 오후 7시10분인데도 늑장보고 탓에 한전 사장조차 5일 오후 9시 뉴스를 보고서야 알게 됐다" 고 개탄했다.

이들은 "사고 후 보고까지 1시간이 걸렸다고 해서 관계자들이 혼난 지난달 30일 일본에서 발생한 방사능 누출사고와 비교하면 기가 막힐 정도" 라며 한전측의 각성을 촉구했다.

한나라당 김호일(金浩一)의원은 "한전은 사고 당시 '감속재 순환펌프의 베어링을 교체하던 중 사고가 발생했다' 고 발표했으나 펌프는 고장으로 이미 4월부터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펌프 자체의 결함을 숨기려 한 흔적이 있다" 고 따졌다.

자민련 김종학(金鍾學)의원은 "이번 사고는 캔두(CANDU)형 원자로의 구조적 문제점에서 비롯된 것" 이라며 "원전의 중수 재고량이 사용량의 최대 15배까지 달하는 것은 한전 스스로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중수 누출사고를 의식한 것 아니냐" 고 물었다.

박근혜(朴槿惠.한나라당).김경재(金景梓.국민회의)의원은 "최근 지진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양산 단층대에 위치한 월성.고리 원전의 피해가능성이 커지고 있는데도 한전은 지역 주민들에 대한 안전교육과 방재장비 지급을 소홀히 하고 있다" 고 입을 모았다.

의원들에게 뭇매를 맞은 한전 최수병(崔洙秉)사장은 "보고 지연 책임자를 엄중 문책하고 전체 원전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해 종합안전대책을 수립하겠다" 고 답변했다.

김정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