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핫라인] 외국인 전용공단 분양안돼 무용지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첨단고도기술을 가진 외국기업들을 유치하기 위해 1천9백5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조성한 3개 외국인전용단지가 분양이 제대로 되지않아 무용지물로 전락하고 있다.

29일 산업자원부가 국회 산업자원위에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정부가 94~97년 총 1천9백5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광주 평동.충남 천안.목포 대불단지에 조성한 3곳의 외국인전용공단이 외국기업의 입주기피로 제 기능을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 평동단지의 경우 6만2천여평의 분양대상 면적 가운데 7월말 현재 단 한건의 분양계약도 체결되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임대 면적도 대상면적 12만7천6백여평의 38.3%인 4만8천8백평(9개 업체)에 그쳤으며 9개 입주업체 가운데 실제가동에 들어간 업체는 2개에 불과했다.

목포 대불단지도 29만평의 분양대상 면적 가운데 미국의 보워터사 1개 업체만이 12만2천평을 분양받아 입주했을 뿐이고 천안단지도 18개 업체가 9만3백평을 임차, 98%의 임대율을 보였으나 분양실적은 4개 업체 1만8천4백평에 불과해 분양률이 32.5%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나라당 맹형규 의원(서울 송파을)은 국감질의를 통해 "외국인 전용공단이 외국인들로부터 외면당해 유명무실화하고 있으며 공단조성에 참여했던 국내 건설업체들의 부실화도 초래하는 등 대규모 사업비만 들인 대표적인 실패 사업으로 전락했다" 고 지적했다.

산자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외국인 전용단지의 분양실적이 저조한 것은 외국인 투자기업들이 초기 투자비를 줄이기 위해 임대용지를 선호하고 있고 단지주변의 사회간접자본시설이 열악하기 때문" 이라고 설명했다.

홍병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