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만㎞ 청정 해안선 … 아시아 해양 낙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2면

남해안의 경남·부산·전남 3개 시·도가 상호 협력, 발전 잠재력을 극대화해 국가 성장동력의 새로운 발원지로 성장하고자 하는 미래 비전이다. 국제적으로는 개방 지향적 해양 경제시대에 부응하기 위해 남해안을 신해양 물류·관광산업 등으로 동북아 7대 경제권으로 육성하는 것이 목표다. 국내적으로는 동·서 화합을 촉진하며 수도권과 상생 발전할 수 있는 국가균형발전 전략이다.

남해안 시대의 보물이 될 소매물도의 아름다운 모습. [경상남도 제공]


‘경남’ 하면 떠오르는 첫 이미지는 무엇일까. 내국인은 바다(13.9%). 거제 외도(6.2%), 진해 벚꽃축제(6.2%)를 많이 꼽았다. 가장 선호하는 여행지는 거제 외도(10.0%), 한려해상국립공원(5.7%)이다. 경상남도가 지난해 1만6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프랑스는 파리에서 900㎞ 떨어져 불모지나 다름없던 지중해 남부 연안에 리조트와 첨단 산업단지 등을 조성해 국가균형발전과 수도권 집중 완화란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데 성공했다.

위 두 가지는 경남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경남은 남해안을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고, 프랑스 남부 지중해 못지않게 많은 발전 잠재력을 가졌기 때문이다. 김태호 지사가 2004년 11월 ‘남해안 시대’를 주창한 것도 남해안의 잠재력을 보았기 때문이다. 김 지사의 제안은 동·서·남해안권 발전특별법’으로 법제화됐다. 11월에는 구체적 개발계획인 남해안 발전종합계획이 확정될 예정이다. 2020년까지 26조4000억원이 투입될 이 계획은 내년부터 설계 등을 거쳐 본격 추진된다. 남해안의 아름다운 바다와 섬을 종합적으로 개발, 해양 레포츠와 관광·휴양을 아우르는 ‘제2의 지중해’로 건설하고 연안 지역을 복합 경제 중심지로 키우려는 것이다.

이 계획의 당위성은 남해안의 낙후성에서 찾을 수 있다. 남해안은 관광 등 경제자원이 엄청나지만 기반시설이 열악하기 짝이 없다. 부산에서 목포까지 직선거리는 250㎞이지만 꼬불꼬불한 해안선은 1만㎞나 되며, 이곳에는 2460개의 크고 작은 섬이 있다. 관광자원이 무궁무진한 것이다.

또 남해안권에 86개 산업단지가 있고 4700여 개 기업이 입주해 있으나 여전히 1차 산업의 비중이 크다. 중국의 동북 3성, 일본 긴키, 한국 수도권 등을 포함한 동북아 10대 경제권 가운데 인구나 GRDP 면에서 최하위권을 맴도는 이유다.

다행스러운 것은 신재생 에너지인 태양광과 수력발전량은 33.5%와 83.5%로 녹색성장에 적합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남해안권엔 2만5475㎞의 도로가 있지만 포장률(전남·경남 70%)은 전국 평균 78.3%에 못 미친다. 확장 공사가 진행 중인 남해고속도로는 십여 년간 상습 체증에 시달리고 있다. 고성· 통영 등 서부와 중·동부 경남을 잇는 국도도 차량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철도도 단선(單線)으로 운행돼오다 최근 복선(復線) 전철화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이렇게 낙후된 데는 규제가 한몫했다. 경남 통영·거제·사천·남해·하동 등은 한려해상국립공원(면적 546㎢)으로, 전남 여수·고흥·거문도 등은 다도해국립공원(2321㎢)으로 묶여 있다.

또 수산자원보호구역이 경남 1256㎢(해수면 1096, 육지부 160㎢), 전남 1602㎢(해수면 1361, 육지부 241㎢)나 된다.

이런 규제는 개발의 발목을 잡았다. 거제의 해금강 집단시설지구와 마산의 구산 해양관광단지 조성, 사천의 비토 관광지개발 등 다양한 사업에 차질을 빚게 했다.

자치단체의 요구가 잇따르자 올 7월 정부는 수산자원보호구역 해제 등으로 남해안 일대 숙박시설 설치제한 완화, 항만 인프라 관련 행위제한 완화, 해양레저시설 설치규정 완화 등의 조치를 내렸다. 남해안 시대 사업을 촉진할 전망이다.

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