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경남 묶어 기간산업·물류 메카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부산·울산·경남 등 3개 시·도의 공동발전을 위한 ‘동남 광역경제권 발전계획안’이 마련됐다.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 소속인 동남권 광역경제발전위(위원장 허남식·박맹우·김태호, 이하 위원회)는 6일 부산 롯데호텔에서 제1차 회의를 열고 지역발전위원회 등에 제출할 ‘동남 광역경제권 발전계획안’을 심의 의결했다.

이 계획안의 목표는 ‘환태평양시대 세계 제일의 기간산업·물류·교통의 중심지 육성’이다. 이의 중간 목표로는 ▶산업·관광의 융합기지화를 통한 신성장 벨트 구축 ▶환태평양 고부가 클러스터 형성과 물류·교통 인프라 구축 ▶지역적 특성을 제고한 첨단 해양산업의 세계 일류화 ▶저 이산화탄소 녹색성장을 통한 살고 싶은 동남권 조성 ▶초 국경 경제권과의 네트워크 구축 등이 제시됐다.

목표 달성을 위해 8개 분야 42건의 사업도 제시됐다. 선도사업으로는 해양 플랜트 글로벌 허브 구축사업 등 4개 사업, 전략산업으로 로봇사업 부품생산 연계협력사업 등 11개 사업, 인력양성사업으로 차세대 수송기계 시스템을 위한 융합기술인력 양성 등 3개 사업, 과학기술 부문 사업으로 동남권 기초과학 원천기술센터 조성 등 3개 사업이 선정됐다. 또 발전거점 부문에서 항만비즈니스센터 건립 등 4개 사업이, 교통·물류 부문에서 동북아 제2 허브공항 등 6개 사업이, 문화·관광 부문에서 동남권 관광공사 설립 등 7개 사업이, 광역 간 연계·협력 부문에서 이순신 동북아 평화유적벨트 조성 등 4개 사업이 각각 추진된다.

발전 계획안은 다음달 수도권 등 다른 6개 광역경제권 계획안과 함께 국무회의 심의와 대통령 승인을 거쳐 확정된다. 12월에는 계획안 수정·보완을 거쳐 내년 1월 세부 시행계획이 마련된다. 한편 위원회는 이날 부산 금정구 부산경륜공단에서 사무국 개소식을 했다. 위원회는 앞으로 5년 단위의 광역계획과 연도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3개 시·도가 연계한 ▶협력사업 발굴▶재원분담▶사업의 관리평가 등에 관한 사항을 결정한다.

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