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ter] 과거의 의미 되새겨본 생팬크라스역 풍경

중앙선데이

입력

시간이 만든 역사(歷史), 시인이 지킨 역사(驛舍)…. 사진 한 장이 내 눈을 한동안 잡아 두었다. 런던의 생팬크라스 역에 설치돼 있는 시인 존 베처먼의 동상이 벽에 걸린 시계를 바라보듯 찍은 지난주 중앙SUNDAY(132호) 3면의 사진이다. ‘과거와 현재는 공존할 때 아름다웠다’라는 제목의 기사가 설명하듯 1873년에 만들어진 생팬크라스 역은 외형은 그대로 둔 채 내부의 편의시설만 현대화해 2007년 다시 문을 열었다. 130여 년의 시간이 공존하는 공간인 셈이다. 시인이 어떤 노력으로 생팬크라스 역을 지켜냈는지 기사만으로는 알 수 없었지만 마치 “시간이란 건 소중한 거야”라고 지금 우리에게 말해 주는 것 같다. 재창조란 이름으로 도심의 이곳저곳을 파헤치고 뒤집고, 그럴듯한 의미로 포장한 현대식 재창조를 보며 우리에게 새것은 과거에 없던 것이어야 하는가 하는 의문이 든다.
이아람(31회사원서울 은평구 불광동)

외교 아카데미 기사 보도 집념노력 느껴져

지난주(132호)의 외교 아카데미 관련 기사를 읽고 감탄했다. 2년 전 중앙일보가 대한
민국 외교의 취약성에 주목해 외교 아카데미를 제안한 데 그치지 않고 이번에 중앙
SUNDAY가 그 결실을 보도한 것이다. 꾸준히 추적하고 파고들어 보도한 집념과 노
력이 느껴졌다. 그동안 보이지 않는 곳에서 중앙일보가 부단히 ‘잽’을 날려 준 공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제 대한민국도 외교에 관해서는 선진국 대열에 들어설 수 있는 계기가 될, 무척이나 커다란 성과라고 생각한다.
국가를 움직이는 것은 정치인들만이 아니며 국민도 발 벗고 나서야 나라가 바로 선다
고 믿고 있다. 그 국민을 위해 정부와의 다리 역할을 충실히 해 준 중앙일보와 중앙
SUNDAY가 믿음직스럽기까지 하다. 앞으로도 중앙일보와 중앙SUNDAY는 더 많은, 그리고 올바른 제안을 아끼지 말고 언제나 움직이는 언론이 돼 주기 바란다.
김기락(34회사원경기도 광명시 광명 1동)

음악가의 애틋한 사랑 슈만루트와 잘 버무려

중앙SUNDAY와 함께 주말의 새벽을 밝히는 S MAGAZINE은 문화와 예술 전반의 컨템퍼러리한 소식과 주목할 만한 이슈들을 전달해 줘 ‘신문’을 넘어 ‘잡지’로서의 생명력을 얻고 있다. 사이좋은 한 쌍의 조각상이 인상적으로 대문을 장식한 132호 역시 파리에서 개인전을 연 무라카미 다카시를 인터뷰한 ‘세계 미술 권력을 만나다’와 최홍규 쇳대박물관장의 이야기를 전한 ‘이경희 기자의 수집가 이야기’ 등 의미 있는 연
재 꼭지가 많아 유익했다. 메인 이슈 ‘슈만의 길에서 만난 사랑’은 가슴이 트이는 큼직한 사진들을 싣고 슈만 루트에 대한 소개를 슈만 부부의 애틋한 사랑 이야기와 함께 버무려 내 잔잔한 감동을 줬다.
다만 기자가 직접 독일을 방문·취재해 쓴기사였던 만큼 기자 나름의 시각과 감상이
좀 더 담긴 ‘르포식 기사’였다면 어땠을까 생각해 봤다.
이현도 (22학생서울 광진구 자양동)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