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국민회의, 신당 밑그림 전략 다듬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청와대.국민회의의 '2여+α' 정계개편 윤곽이 새롭게 드러나고 있다.

내년 4월 국회의원 총선전략 측면에서 다듬어지고 있는 내용이다.

국민회의가 8월에 독자적 창당준비를 선언할 통합 신당에 ▶자민련 의원 대다수 ▶한나라당 의원 일부를 참여시켜 국회 과반수 의석을 확보한다는 것이다.

국민회의 고위 당직자는 25일 "이는 총선승리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 이라고 강조한다.

여기에는 지금처럼 국민회의와 자민련이 나뉘어 있는 상태에서 총선에 나설 경우 여소야대 (與小野大) 의 패배를 당할 것이라는 절박감이 깔려 있다.

이 당직자는 "원내 과반수를 넘는 힘있는 여당으로 선거에 나서야 과반수를 넘는 승리를 할 수 있다는 판단을 내렸다" 고 전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움직임도 이미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한나라당 모 중진의원이 수도권.중부권 의원 8명을 상대로 행동통일을 설득 중이라는 얘기가 국민회의쪽에서 나온다.

국민회의 한 관계자는 영입대상 의원들의 실명 (實名) 을 거론하면서 이들의 동참을 자신했다.

자민련 일각에서도 과반수 신당 창당의 불가피성을 인정하고 있다.

통합론자인 박철언 (朴哲彦).한영수 (韓英洙) 부총재 등이 국민회의와의 합당쪽으로 움직일 것이라는 관측이 퍼져 있다.

이와 관련, 韓부총재는 "선거구제가 소선거구로 결론이 나면 자민련과 국민회의가 합당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고 말했다.

그는 "당론이 합당으로 정해지면 JP도 따를 것으로 본다" 고 주장했다.

자민련 관계자는 "55명 의원 가운데 대전 충남권을 중심으로 한 10여명을 제외한 40여명은 결국 신당행을 선택할 것" 이라고 전망했다.

그렇지만 이같은 구상이 가시화되기까지는 넘어야 할 고비가 적지 않다.

무엇보다 한나라당의 반발로 영입작업이 지지부진해질 경우 여권의 의도가 관철되기 어렵다.

또 김종필 (金鍾泌) 총리의 정치적 장래가 확고하게 보장돼야 한다.

자민련쪽에서는 "총재직과 공천권 보장은 필수적" 이라는 말이 나온다.

그러나 JP가 통합 신당의 간판이 될 경우의 국민감정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후 (後) 3金정치의 도래' 라는 비판이 제기될 것이기 때문이다.

청와대와 국민회의의 고민은 바로 이 대목에 있다.

이하경.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