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 해제 발표 엇갈린 반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정부의 그린벨트 해제가 발표되자 해당지역 주민과 지자체들은 "오랜 숙원사업이 풀렸다" 며 크게 환영했으나 환경단체들은 일제히 반발하고 나섰다.

◇ 전면해제지역 주민 = 전북 전주의 姜영철 (56.덕진구 대성동) 씨는 "그동안 비가 새는 집을 고치지도 못하는 등 생활에 불편이 많았다" 며 "집과 땅을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게 돼 이제는 내 재산이라는 생각이 든다" 고 말했다.

경남 진주시 판문동에 밭 5백평을 갖고 있는 朴모 (45) 씨는 "지난 91년 평당 3만원에 구입했는데 앞으로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며 기대에 부풀었다.

전주시 이환주 (李桓朱) 도시개발국장은 "전주시와 인근 김제시.완주군을 연결하는 광역도시 개발의 걸림돌이 제거됐다" 며 환영했다.

◇ 부분해제지역 주민 = 서울 은평구 진관외동에서 20여년간 살고 있는 김길동 (金吉東.61) 씨는 "이 지역 주민들은 세금을 꼬박꼬박 내면서도 도로포장 등 기본적인 혜택도 못받아왔는데 이제야 지역발전이 이뤄질 것 같다" 며 기뻐했다.

하지만 金씨는 "개발이익을 환수한다는 정부의 방침은 땅을 조금 팔아 집이라도 고쳐 보려는 주민들의 입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결정" 이라며 불만을 나타내기도 했다.

◇ 환경단체 = 환경련.녹색연합.경실련 등 27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그린벨트 살리기 국민행동' 은 이날 성명을 통해 "도시확산 방지와 자연보호 효과를 거둔 그린벨트를 무분별하게 풀어 전국의 녹지축이 한꺼번에 무너지게 됐다" 고 비난했다.

환경단체들은 "특히 환경평가에서 '보전 1등급' 으로 나온 춘천.진주권을 해제한 것은 있을 수 없는 일" 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녹색연합 장원 (張元) 사무총장.서경석 (徐京錫) 시민단체협의회 사무총장 등 5명의 주요 시민단체 대표들은 21일부터 열흘간 일정으로 경실련 강당에서 그린벨트 해제 반대 단식농성에 들어갔다.

전국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