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여당案 전격수용 배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한나라당 이회창 (李會昌) 총재가 21일 지루하게 끌어온 특별검사제 도입문제와 관련, 여당 안을 그대로 받아들이겠다고 전격 선언했다.

李총재는 이날 당무회의 서두에 "청와대와 여당에서 밝힌 대로 우선 특검제와 국정조사를 실시하자" 고 말했다.

옷 로비 의혹사건과 검찰의 파업유도 의혹사건에 대해서는 특검제를 실시하고 국정조사는 파업유도 의혹사건에 대해서만 하자는 여당의 '2+1' 제안을 수용한 것이다.

李총재는 지난 주말을 고비로 원내 투쟁으로 기울었다. 19일 의원총회에 이부영 (李富榮) 총무를 통해 이런 의견을 제기했다가 강경투쟁의 목소리가 너무 높아 관철하지 못했지만 이날은 아예 작심한 듯 회의 첫머리에서 발표해버린 것이다.

李총재의 이같은 결정은 특검제 불씨를 살려야 한다는 절박함 때문이다. 李총재는 이날 부총재.상임고문단 초청 오찬에서도 "최근 정국이 급박하게 돌아가면서 특검제가 관심 속에서 사라지고 있는 데 대해 국민들이 불만스럽게 느끼고 있다" 고 설명했다.

임창열 (林昌烈) 경기도지사 부부의 뇌물 수수의혹, 연내 내각제 개헌 연기, 2여+α정계개편설 등은 워낙 대형 이슈였다.

더구나 검찰이 '가짜 특검제' (安澤秀대변인) 로 파업유도 의혹사건 수사에 착수함으로써 자칫 특검제를 주장할 시기와 명분조차 놓쳐버릴 우려가 있었다.

때문에 李총무는 "그동안 애써 여당으로부터 얻어놓은 것마저 놓칠 수 있다" 며 李총재를 채근해왔다.

야당의원에 대한 사정 압박도 바람막이용 국회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만들고 있다. 여당이 반대할 경우 단독으로라도 소집하겠다고 한 것은 이런 사정 때문이다.

'세풍 (稅風)' 재수사에 반발해 제205회 임시국회를 중도에서 공전시킨 李총재가 다시 임시국회 소집을 요구하는 것이 궁색하기는 하다. 그래서 여당의 정계개편설과 검찰의 '가짜특검제' 를 걸고 나옴으로써 명분을 찾으려는 것이다.

여기에 정국 주도권이 완전히 여권에 넘어가고 있다는 점도 李총재를 압박했다. 李총재는 "어떤 날은 TV뉴스에서 여당 이야기만 길게 나오고 야당의 주장은 전혀 나오지 않는 날도 있다" 며 불만을 토로했다.

이런 상황에서 야당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전선은 원내" (金命潤고문) 라는 것이다. "잇따라 터지는 현 정권의 실정 (失政) 을 따지기 위해서도 국회를 열어야 한다" (李富榮총무) 는 생각이다.

그러나 원내에 들어가더라도 장외투쟁은 병행할 방침이다. 22일 의원.지구당위원장 연석회의를 열고, 지구당별 규탄대회도 갖기로 했다. 정국흐름의 중심에 서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한다는 계산이다.

김진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