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론 JP 반발파동…시기조절 불가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2여+α' 신당론이 일단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핵심 주체 중 한명인 김종필 (金鍾泌) 총리가 발을 뺐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당 창당론이 완전히 물건너 간 것은 아니다. 청와대와 국민회의, 그리고 자민련 합당파들은 아직 신당에 대한 강한 집착을 버리지 않고 있다. 그래서 대세는 '신당 무산' 이 아니라 '적당한 시기에 재추진' 이다.

특히 국민회의는 신당 창당이 아니고서는 내년 총선을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어렵다고 본다. 21세기에 맞는 국정운영 시스템도 갖출 수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이 17일 DJP 회동에서 신당 창당을 제의한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金대통령과 국민회의는 지난해 말부터 양당 통합을 추진해 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국민회의는 JP의 태도 변화에 대한 기대도 버리지 않는 모습이다. 국민회의 핵심 관계자는 "지금은 JP가 자민련 내부 갈등을 추스르는데 힘을 쏟아야 할 입장이어서 다른 생각은 할 수 없지 않느냐" 고 말했다.

내각제 유보 진통이 가라앉은 뒤 JP 위상강화 등을 제시하며 설득하면 상황은 달라질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국민회의는 한나라당 의원 영입작업도 꾸준히 병행 중이다.

신당 창당 작업이 수면 위로 다시 올라올 가능성은 JP의 언급에서도 부분적으로 감지된다. 그는 21일 "내년 총선에 자민련 의원들이 자민련 간판으로 출마하느냐" 는 질문에 "내년 총선 얘기는 좀 빠른 것 아니냐" 고 말해 여운을 남겼다.

자민련 박태준 (朴泰俊) 총재도 "8인위원회에서 정치발전의 범주 등 여러가지를 연구해 나갈 것" 이라며 "정치발전의 범주에는 정치개혁 등 여러 것이 들어가지 않겠느냐" 고 말했다.

양당 8인위원회가 신당 논의의 물꼬를 다시 틀 가능성은 청와대에서도 열어놓고 있다.

청와대 박준영 (朴晙瑩) 대변인은 8인위원회에서 논의될 현안에 "양당이 정치발전을 위해 제기하는 모든 의제가 포함될 수 있다" 고 답변했다.

다만 시기는 다소 늦어지는 것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당초 여권 핵심부가 잡았던 'D - 데이' 는 9월 10일 이전. 신당이 정기국회를 치르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국민회의에서는 "자민련이 반발하는 마당에 밀어붙일 필요가 없다" 는 신중론을 바탕으로 연말설이 대두되고 있다. 국민회의 핵심 관계자는 "당분간 2여 공조를 합당 수준으로 높이면서 신당 창당에 대비하는데 주력할 것" 이라고 말했다.

물론 내각제 유보 논란 과정에서 자민련 내 강경파가 조속히 이탈해 버리는 등의 상황변화가 올 때도 신당론은 재부상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하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