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강 수질대책 다시 만들어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한강 등 4대 강 살리기 사업과 관련해 환경부가 사업 추진에 따른 수질이 어떻게 변할지 다시 따져보라고 국토해양부에 요구했다. 그 결과에 따라 수질 개선 대책을 새로 만들도록 주문했다. 국토부가 7월 말 제출한 환경영향평가서 초안에 대해 환경부는 최근 이런 내용의 검토 의견을 국토부에 보냈다.

이에 따라 국토부와 환경부의 의뢰를 받은 국립환경과학원이 4대 강 사업에 따른 수질 변화 예측 작업을 전면 재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9일 본지가 입수한 환경부의 ‘한강 살리기 사업 환경영향평가서 초안 검토의견’에 따르면 환경부는 “물을 가두는 보(洑)를 설치하고 바닥을 긁어내면 수질이 바뀔 수 있다”며 “그 결과를 제대로 예측하라”고 국토부에 요구했다. 환경부가 국토부가 낸 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한 달여 동안 검토한 뒤 내린 결론이다. 4대 강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국토부는 한강에 3개, 낙동강에 8개 등 4대 강에 16개의 보를 만들 계획이다. 환경부는 또 “토사가 쌓이거나 고인 물이 썩지 않도록 하는 물관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준설에 따른 하천 생태계 교란 여부를 조사하고, 멸종위기 종인 단양쑥부쟁이 보호방안을 수립할 것도 주문했다.

환경부의 이런 요구는 4대 강에 보를 만들면 가둬진 물이 부패하면서 수질 오염이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를 반영한 것이다.

국토부 4대강살리기추진본부의 홍동곤 수생태보존팀장은 “수질 예측 결과가 다음 달 중순쯤 나온다”며 “그렇게 되면 다음 달 초에 제출할 환경영향평가서에 예측 결과와 수질관리 방안을 담기 어렵다”고 말했다. 국토부가 예정대로 다음 달에 4대 강 사업을 착공하려면 그 전에 환경영향평가 협의를 마쳐야 하는데, 이것이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강찬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