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장애인 점자 보도블록 졸속진행 예산만 낭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서울시가 2억원의 예산을 투입한 장애인 보행권 확보사업이 졸속으로 진행돼 예산만 낭비한 전시행정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복지 5개년 종합계획에 따라 지난해 초부터 올 4월까지 덕수궁~세종문화회관~정부종합청사에 이르는 1.2㎞구간을 '장애인 통행개선 시범사업 지역' 으로 선정하고 점자블록을 설치하는 등 대대적으로 정비했다.

그러나 시범사업 지역에는 차도로 향하는 점자블록.무단횡단이 불가피한 횡단보도 등 곳곳에 위험이 산재해있다.

◇ 졸속 정비사업 = 안전을 위해 설치한 점자블록이 오히려 장애인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

광화문 빌딩에서 횡단보도를 건너 세종문화회관으로 가다보면 점자블록의 방향이 보도가 아닌 세종로 차도로 향하도록 설치돼 있기 때문이다.

블록이 이어진 방향으로 갈 경우 함정에 빠지는 셈이다.

서울시가 왕복 10차선 새문안길에 8천3백만원을 들여 설치한 횡단보도도 장애인 편의는 안중에 없다.

장애인이 교통신호가 설치된 교통섬까지 가기 위해서는 신호가 없는 9m 차도를 무단횡단해야하는 위험이 따르기 때문이다.

또 웬만한 횡단보도에는 설치된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 조차 이곳에는 갖춰져 있지 않다.

점자블록의 경우 일직선으로만 설치돼 있을 뿐 버스나 택시승강장.인근 건물과의 연결은 전혀 돼 있지 않다.

지체장애 1급으로 두다리를 사용하지 못하는 김명주 (32) 씨는 "버스나 택시를 타거나 건물에 들르는 등의 행동은 하지말라는 얘기" 라며 목청을 높였다.

시범구간 내의 지하철 역이나 지하차도는 장애인 사각지대다.

바퀴의자가 다닐 수 있도록 입구의 턱 (경계석) 을 낮추지 않았고 휠체어 리프트나 비상벨도 전혀 갖춰져 있지 않다.

◇ 편의시설 미비 = 관련 시민단체들이 지속적으로 요구해온 장애인용 화장실은 단 한곳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장애인용 공중전화도 1.2㎞ 구간에 단 한곳 뿐이고 그나마도 1.5m높이에 설치돼 있어 바퀴의자에 탄 채로 이용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다.

장애인 편의 촉진모임의 전정옥 사무국장은 "시범사업이 이 정도인데 다른 곳은 오죽하겠느냐" 며 "장애인 입장에서 무엇이 필요하고 불편한지를 충분히 조사하지 않고 진행하는 사업은 예산만 낭비하게 마련" 이라고 주장했다.

김준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