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개혁 어떻게] 제2금융권 자금줄 끊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정부가 대기업의 제2금융권 지배를 문제삼고 나온 데는 두가지 의미가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우선 금융시장에서 제2금융권의 비중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제2금융권에 대한 대기업의 지배력이 강화되고 있는 것을 더 이상 방관할 수 없게 됐다는 것이다.

국제통화기금 (IMF) 사태를 맞자 시중자금이 안전한 금융기관을 찾아 대거 움직이면서 대기업 계열사의 시장점유율이 급격히 높아졌다.

예컨대 전체 투신사 수익증권 수신에서 5대 재벌 계열사의 비중이 96년 3월 5.8%에서 99년 3월에는 31.6%로 껑충 뛰었다.

문제는 이처럼 시중자금을 끌어모으고 있는 재벌계열 금융기관들이 해당 그룹의 사 (私) 금고로 악용될 소지가 많다는 데 있다.

다른 한편으론 최근 지지부진한 재벌개혁을 다그치자는 의도도 깔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재벌들이 구조조정에 소극적으로 나오고 있는 것은 금리부담이 줄어든 탓도 있지만 계열사로 시중자금이 쏟아져 들어오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정부의 시각이다.

실제로 5대 재벌이 부채비율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었던 데는 계열 금융기관의 증자참여에 힘입은 바가 크다는 게 금융감독위원회의 분석이다.

재벌들이 계열 금융기관을 통해 언제든지 '실탄' 을 동원할 수 있는 한 구조조정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고 따라서 구조조정에 나서지 않을 수 없도록 하자면 '자금줄' 을 끊어야 한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증권.투신.보험사 등에 대한 대기업의 지배력을 약화시킬 조치들이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정경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