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사장 사표거부 버티기…"대통령뜻 확인후 결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장영식 (張榮植) 한국전력 사장의 경질 파문이 확산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 17일 산업자원부로부터 경질 방침을 통보받은 장영식 한국전력 사장은 아직까지 사표를 제출하지 않고 경질 사유가 부당하다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張사장은 21일에도 사장실에 출근, 정상적인 업무를 보며 '무언의 시위' 를 하고 있으나 주무부처인 산자부에서는 "신변을 정리할 시간이 2~3일 필요한 것으로 안다" 고 설명했다.

張사장은 그러나 기자와의 전화통화를 통해 "자율경영을 위임받은 사장으로서 임면권자인 대통령의 뜻을 확인하지 않고 사표를 낼 수는 없다" 며 "대통령이 그만 두라고 하면 그만 두겠다" 고 밝혔다.

張사장은 "산자부가 내세운 경질 이유를 그대로 받아들이기 힘들다" 며 "지난해 거둔 막대한 순익도 전력요금 인상과 환차익 때문이라는 이야기는 납득하기 어렵다" 고 말했다.

한전 내부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순이익 1조5천4백68억원 중에서 인력감축과 연료비.경비절감 등 자구노력을 통해 이뤄진 부분이 4천5백51억원으로 30% 가까운 비중을 차지했다고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산자부는 張사장이 조만간 자진사퇴하지 않을 경우 해임 등 중징계 조치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현행 정부투자기관 관리기본법상엔 '공기업 사장이 경영실적이 저조해 해임 건의가 있거나 기타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곤 임기 중 해임되지 않는다' 고 돼 있어 어찌됐든 지난해 공기업 경영평가 1위를 차지한 한전 張사장이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놓고 시비가 일 전망이다.

후임 한전 사장은 현사장 사퇴 이후 2주 이내에 비상임이사 (8명) 와 이사회가 선임하는 7인 이내의 민간위원으로 구성된 사장추천위원회의 추천으로 주주총회의 의결을 거쳐 산업자원부 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게 된다.

홍병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