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울만한 선진국 사례들] 치과의사는 공무원 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우리 나라 사람들이 매년 치과진료비로 쓰는 돈은 3조원. 1인당 7만 5천원꼴이다.

핀란드는 5억 9천만달러 (7천억원) 로 1인당 14만원을 쓴다.

그러나 핀란드의 1인당 국민소득이 우리보다 4배나 높은 점을 감안하면 우리가 오히려 그들보다 2배나 많은 돈을 쓰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결과는 정반대다.

우리 나라는 5세 어린이 5명 중 4명이 충치를 앓고 있지만 핀란드는 12세 어린이의 평균 충치가 1.2개에 불과한 구강보건 모범국가다.

핀란드 헬싱키 보건정책연구소 구강보건담당관 안네 노블랏박사는 이를 "치료보다 예방에 치중한 결과" 라고 설명했다.

핀란드를 비롯한 북유럽국가들은 치과의사가 대부분 지방자치단체의 보건소에서 근무한다.

월급이 정해져 있으므로 환자가 아플수록 치과의사에겐 손해인 셈이다.

따라서 이곳에선 치과의사들의 수익증진을 위한 비용유발형 고가진료 대신 스케일링과 실란트 등 예방 위주로 진료가 이뤄진다.

보조인력을 활용해 비용을 아끼려는 노력도 돋보였다.

스웨덴 카를스타 구강보건소장 한스 카이저박사는 "1개월 속성으로 구강조무사를 양성해 치과의사 월급의 5분의 1로 초등학교에 배치해 실란트 등 기본적 시술을 맡긴다" 고 설명했다.

충치예방인증제도의 도입도 배울 만하다.

스위스에서 처음 시작한 이 제도는 자일리톨 등 충치예방효과를 지닌 식품에 대해 국가가 일정한 심사를 거쳐 인증을 주는 것. 선진국 중 유일하게 구강보건상태가 우리와 비슷해 구강보건후진국 소리를 듣는 일본이 97년부터 '특정보건용식품' 이란 이름으로 이를 도입해 주목을 끈다.

그렇다면 공공의료가 튼실한 선진국과 달리 대부분의 치과진료를 민간에서 담당하고 있는 우리 현실에선 어떤 방안이 시급할까. 서울대치대 예방치학과 문혁수 (文赫秀) 교수는 "중앙정부의 지원과 함께 보건소의 구강보건사업을 활성화하는 것이 대안" 이라고 강조했다.

전국 보건소에 7백20명의 치과공중보건의와 1천4백여 명의 치과 위생사가 있지만 이들 대부분이 찾아오는 환자들만 치료할 뿐이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장은 예방사업을 적극 지원해야하며 예방사업을 관장할 시.도 구강보건과가 시급히 설치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헬싱키.카를스타.도쿄〓구강보건취재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