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회담…양국 대북정책 공조 강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대북 (對北) 문제를 비롯한 경제.문화 분야 등에서 한.일간 교류.협력이 양국 정상간 합의로 더욱 긴밀해질 것이 예상된다.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小淵惠三) 일본 총리는 20일 북한이 미사일 문제 등에 있어 건설적으로 응해오면 일.북관계 개선 등 상응한 조치를 취하기로 합의했다.

金대통령과 오부치 총리는 이날 단독.확대 정상회담을 마친 뒤 기자회견을 갖고 한.일 양국간 대북정책 공조체제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오부치 총리는 "金대통령의 포용정책을 지지한다" 고 전제, "북한이 여러 문제에서 건설적 대화를 해온다면 북한 미사일 발사 후 대북 수교협상 중단 등 일본이 취한 조치를 재검토할 수 있으며 북한과의 관계개선이 가능하다" 고 말했다.

그는 "여러 각도에서 여러 파이프를 통해 북한과 접촉, 북한의 메시지를 고대하고 있다" 면서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 (KEDO)에 대한 자금공여 협정 교섭이 마무리되는 대로 일본 국회에 지원계획을 제출할 것" 이라고 밝혔다.

金대통령도 "북한이 전쟁을 포기하고 평화에 협력하면 안전, 경제적 회복, 국제사회에서의 정당한 참여 등 북한이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지원할 용의가 있다" 며 "나는 일본.미국이 북한과의 관계개선에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오부치 총리에게) 설명했다" 고 소개했다.

金대통령은 "북한의 핵이나 미사일 등 대량살상 무기가 절대로 생산.사용돼선 안된다는 데 오부치 총리와 의견을 같이했다" 고 덧붙였다.

金대통령은 일왕 방한 문제와 관련, "여러 여론조사에서 천황의 방한을 한국 국민이 찬성하고 있으므로 국민적 합의가 이뤄진 것으로 본다" 면서 "일본이 준비되면 긴밀히 협의해 시기를 정할 것" 이라고 말했다.

두 정상은 회담에서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및 행동계획의 추진현황에 관한 공동발표문' 을 채택, 2001년 발효를 목표로 한.일 투자협정을 이른 시일 안에 체결키로 하고 지난해 10월 서명된 새로운 한.일 이중과세방지협약도 조기 발효키로 했다.

이연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