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주주·외국인 감시, 주총 넘기기 기업들 비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아직 정기 주주총회 시즌이 한달이상 남았는데도 대기업들은 벌써부터 대응전략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지난해 증권거래법 개정으로 소액주주의 권한이 대폭 강화된 이후 처음 맞는 주총인데다 회사 경영에 변화가 많아 한차례 소동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주요 그룹의 오너가 대표이사로 등재된 주력 계열사와 구조조정을 추진 중인 업체들은 소액주주와 우리사주 등의 반발에 대비한 대책을 짜느라 분주한 모습이다.

◇ 예상되는 문제 = 대기업들은 이번 주총에서 소액주주의 도전이 유례없이 거셀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석유화학과 철도차량, 항공기 등 사업구조조정 업종은 통합법인 설립을 위해 주주의 3분의 2가 동의하는 사업양수도 특별결의가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모기업이 해당 사업부문의 부채를 상당부분 떠안아야 하는 반면 우량자산을 양도해야 하기 때문에 모기업 주주들의 강력한 반발이 우려된다.

또 삼성전자.삼성전관 등 외국인 지분율이 50% 수준에 육박하는 회사들은 외국인 투자자들이 연대, 경영권을 위협할 가능성도 없지 않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와 함께 대우전자.LG반도체 등 빅딜 대상 회사들의 경우 주가 상승으로 대부분의 주주들은 우호적인 입장인 반면 우리사주와 노조, 비상대책위 등의 반발로 주총때 소동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해당 기업들의 우려섞인 관측이다.

◇ 대기업 대응 전략 = 소액주주의 반발에 대비해 법률전문가를 동원해 주총안건을 미리 점검, 말썽의 소지를 없애는 한편 우호적인 기관투자가 확보에 나서고 있다.

삼성의 경우 분기별 경영정보를 주주들에게 공개하는 제도를 도입하는 등 주요 계열사들이 이미 소액주주의 반발에 대비한 전략수립에 들어갔다.

삼성 A부장은 "외국인 투자자들의 연대를 통한 경영권 위협에 대비하고 소액주주들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서는 우호적인 기관투자가를 확보하는 게 급선무라 계열사별로 확보 작업에 나섰다" 고 말했다.

현대의 경우 기아.아시아자동차를 인수한 현대자동차와 현대에 부분 또는 전체가 흡수되는 현대정공.현대자동차써비스 등의 주주들이 어떻게 나올지 분석작업이 한창이다.

김남중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