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 힘]한국시민운동 환경분야와 리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환경]

환경단체들은 지금까지 지역 여건이나 특성에 따라 독립적인 활동을 벌여왔다.

그러나 올해 만큼은 사안별 연대모임을 최대한 가동하고 국민 여론을 환기시켜 환경파괴를 사전에 방지하겠다고 다짐하고 있다.

올해 주요 타깃은 강원도 영월 동강댐과 새만금개발사업.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 崔冽) 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반대 집회와 모임을 통해 "동강은 흘러야 한다" 고 강조해 온 환경단체들은 시민들의 공감을 등에 업고 댐 건설을 반드시 막아내겠다는 입장이다.

새만금호 개발사업은 갯벌 생태계 파괴 뿐만 아니라 국민 혈세를 낭비하는 대표적 사례로 규정하고 녹색연합 (사무총장 張元) 을 중심으로 사업을 백지화시켜 '제2의 시화호' 가 탄생되는 것을 막겠다는 각오다.

환경단체들은 이와 함께 정부의 그린벨트 해제방침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경실련 등 23개 환경단체로 구성된 '그린벨트 살리기 국민행동' 에서는 "그린벨트의 해제는 있을 수 없다" 는 말로 정부를 몰아붙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서도 환경단체들은 비판과 대안제시를 통해 정책결정에 크게 작용함으로써 정부나 지자체의 당당한 파트너로 자리매김해 나가고 있다.

◇최열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

28개 단체로 구성된 한국환경회의는 지난해 10대 환경뉴스의 하나로 '국민의 정부에서 높아진 민간 환경단체의 위상' 을 들었다.

그러나 한국 환경운동의 대표 주자격인 최열 (50)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의 견해는 다르다.

"위상이 높아졌다고는 하나 환경단체의 영향력은 환경관련 부처에만 머무르고 개발부처의 정책 결정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고 아쉬움을 표시한다.

그린벨트 해제나 영월 동강댐 건설 등 정부 부처간의 갈등 속에서는 환경단체의 주장이 반영되지 않는다는 것. 崔총장은 "이제는 21세기를 위한 환경 청사진을 마련해야 할 시점" 이라며 "국토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환경운동단체의 독자적인 대안을 마련하고 국제연대를 통해 지구환경 문제에도 관심을 쏟아야 할 것" 이라고 밝힌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