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든 벨로의 '어두운 승리' 번역 출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0면

필리핀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월든 벨로 박사의 '어두운 승리' (이윤경 옮김.삼인.8천5백원)가 번역돼 나왔다.

90년대 아시아적 위기상황을 80년대 아프리카.중남미 국가들이 겪은 '상실의 10년' 에 접목 시킨 분석력이 돋보이는 책이다.

70년대 종속이론의 키워드는 '저개발의 개발' .하지만 후진국이 아닌 개발도상국이라는 단어와 닉스 (NICS:신흥공업국가) 라는 신조어에 가려 종속이론은 퇴색하고 말았다.

하지만 벨로는 지금의 상황을 '재식민지화' 로 규정하면서 21세기가 '북반구' (부유한 나라) 와 '남반구' (빈곤한 나라) 의 전쟁으로 막을 열지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낼 정도다.

책의 시작과 끝, 그리고 중간 몇군데 반복적으로 인용되고 있는 제프리 가튼 (클린턴 1기 행정부의 통상차관) 의 말이 상징적이다.

"아시아국가들은 현재 깊고 어두운 터널을 지나고 있다. 그 끝에는 지금과는 전혀 다른 아시아가 기다리고 있을지 모른다. 미국기업이 시장 깊숙이 침투하여 주도권을 장악하고 있는 현실 말이다. " 벨로는 이어 종래 미국의 '동맹국' 이 '표적국' 이 돼 추락하는 현상에 대해 날카로운 분석의 잣대를 들이댄다.

미국이 주도하는 구조조정이란 이름의 차관은 '제3세계 길들이기' 차원의 대반격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레이건.대처주의를 수렴한 신자유주의의 음모이론까지 등장하는데 태국.멕시코.칠레.가나.코스타리카.필리핀의 빈곤화에서 그 흔적은 확연하다.

게다가 그는 한국의 IMF상황에 대해 '성공의 벌칙' 이라는 말로 설명을 잇는다.

그렇다면 대안은 뭘까. 벨로는 과거에의 향수, 즉 '명령형 또는 국가지원형 자본주의' 로의 회귀는 금물이라고 단언하고 있다.

대신 그는 '지속 가능한 개발' 을 대명제로 한 새로운 국제질서의 확립 필요성을 내세운다.

보론으로 붙은 벨로의 '아시아 금융의 위기 : 원인.과정.전망' 은 책의 무게와 의미를 더한다.

허의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