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각제 말도 말자' 2與 공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국민회의와 자민련 지도부가 23일 약속이나 한 듯 내각제 함구령을 내렸다.

청와대는 이날 국민회의에 '경고' 를 보냈다.

하루 전인 22일 정균환 사무총장이 "내각제 합의는 IMF를 생각하지 못하고 한 것" 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한 데 대해서다.

김중권 (金重權) 청와대 비서실장이 조세형 (趙世衡) 총재권한대행에게 전화를 걸어 이런 뜻을 전했다.

청와대는 이런 사실을 공개하기까지 했다.

이는 내각제 관련 발언을 자제하라는 지시가 김대중 대통령의 뜻이란 의미다.

물론 자민련을 자극하지 않으려는 배려도 담겨 있다.

鄭총장은 즉각 자민련 박태준 (朴泰俊) 총재와 김용환 (金龍煥) 수석부총재.박준병 (朴俊炳) 총장 등에게 전화로 "와전됐다" 며 사과성 해명을 했다.

자민련도 확전 (擴戰) 은 원치 않는 분위기다.

자민련은 지난 18일 공동정권 출범 1주년 기념행사에서 金대통령이 "내각제 문제는 나와 김종필 총리가 무릎을 맞대고 논의하겠다" 고 발언한 뒤 가급적 입조심하고 있다.

朴총재는 이날 오전 당사에서 열린 전국 지구당위원장 회의에서 "공동여당 내에서 우발적 의견표시가 나오지 않도록 유념하라" 고 당부했다.

그러나 자민련 구천서 (具天書) 총무는 "우당 (友黨.국민회의) 은 말조심하라" 는 경고를 잊지 않았다.

지구당위원장들은 결의문에서 "내각제는 정치적 흥정이 될 수 없는 대 (對) 국민 약속이며 99년까지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 고 못박았다.

金총리는 오후에 이들을 공관으로 초청, "될 일은 되고 안될 일은 안되니 순리대로 풀어가라" 고 말했다.

속도 조절을 당부한 것이다.

양당 지도부의 지침에 따라 내각제 문제는 당분간 잠복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침묵이 오래갈 것으로 보는 이는 거의 없다.

김종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