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창 총재 야당투사 변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한나라당 이회창 (李會昌) 총재의 목청이 갑자기 커졌다.

15일부터 강도높은 대여 (對與) 포격을 계속중이다.

현안들에 대한 분명한 목소리를 내면서 사사건건 여권을 비판하기 시작했다.

세풍.총풍사건 등 외우 (外憂) 와 비주류와의 불화라는 내환 (內患) 까지 겹친 궁지를 '강한 야당투사' 로의 변신을 통해 돌파하려는 듯하다.

최악의 상황이 오리라는 연말.연초 정국을 앞두고 배수진을 친 셈이다.

매일 아침 열리는 주요당직자회의의 '5분 연설' 이 주요 창구다.

15일 "대통령이 나서 재벌 빅딜을 추진하는 것은 잘못" 이라고 비난한데 이어 16일에는 전방위로 불을 질렀다.

'안기부에서의 고문' '야당 정치집회에서의 테러' '민간인 정치사찰' 등을 열거하며 "오만스런 작태" 라는 표현까지 썼다.

" '국민의 정부' 는 종국에 가서는 '고민의 정부' 가 될 것" 이라며 조어 (造語) 도 동원했다.

이틀전 의원총회에서 "나는 내 자신을 버렸다.

잡아가두겠다면 들어갈 것이고 죽이겠다면 죽겠다" 고 선언한 그다.

동생 회성 (會晟) 씨의 구속까지 몰고온 여권의 공세를 앉아서 당하지만은 않겠다는 비장함이 역력하다.

"위기 탈출을 위해 달리 방도가 없지 않느냐" 는 게 한 참모의 말이고 보면 이같은 기조는 앞으로 계속될 것 같다.

일단 임시국회 소집으로 투쟁의 장 (場) 이 계속 서게 된 이상 이를 최대한 활용할 태세다.

당에 "교원정년 65세를 고수하라" 는 지시도 내렸다.

신경식 (辛卿植) 사무총장은 "사정의원들에 대한 체포동의안 처리에 결코 응하지 않을 것" 이라며 李총재의 뜻을 전했다.

또 있다.

냉소와 비협조로 일관하는 비주류 문제에도 적극 대응으로 태도를 바꾼 모습이다.

"뒤에서 손가락질 말고 내게 직접 질타하라" 는 뜻을 전했다고 한다.

그러나 李총재의 이같은 저항이 만만히 먹혀들 상황만은 아니라는 게 이면의 고민이다.

李총재와 한나라당을 목조르는 일련의 사건들은 여전히 여권이 칼자루를 쥐고 있다.

때문에 강하다가 부러지느니 격랑을 비켜가는 정치력을 발휘하라는 주문도 적지 않다.

당장 체포동의안 처리 불가 방침에 한 중진은 "짧은 생각" 이라고 지적했다.

"처리는 하되 여당을 설득해 부결시키도록 하는 게 바로 정치력" 이라는 주장이다.

무작정 반대의 부작용도 생각해야 한다는 얘기다.

김석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