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그룹 구조조정]추진과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5대 그룹 구조조정은 지난 1월 김대중 (金大中) 당시 대통령당선자와 5대 그룹 대표들간에 합의된 '5대 원칙' 의 큰 틀 안에서 추진돼 왔다.

이후 6월 중순엔 금융감독위원회 주도로 5대 그룹 20개사를 포함, 총 3백13개 부실기업을 1차 퇴출대상으로 판정, 발표함으로써 기업 구조조정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다.

이즈음 재계의 빅딜 논의도 본격화됐다.

김중권 (金重權) 대통령 비서실장이 능률협회 초청 간담회에서 "이른 시일내에 기업쪽에서 빅딜을 발표할 것" 이라며 폭탄발언을 했고 이는 삼성.현대.LG 등 5대재벌 간에 자동차.반도체 등을 맞교환하는 이른바 '3각 빅딜안' 으로 이어졌으나 서로 이해가 엇갈리는 바람에 무산됐다.

그후 이헌재 (李憲宰) 금감위원장이 "재벌 구조조정에 금감위가 개입하겠다" 고 엄포를 놓은데 이어 박태영 (朴泰榮) 산업자원부장관도 '중복투자 10대산업' 을 발표하는 등 압박이 한층 거세졌다.

결국 정부와 재계는 10월초 7개 업종의 빅딜 합의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이후 재계의 실행속도가 지지부진하다고 판단한 정부는 5대 그룹 구조조정을 연내 완료한다는 전제하에 재계를 전방위에서 압박해 들어갔다.

그 결과로 나온 것이 7일의 5대 그룹 구조조정 추진 합의문이다.

이에 따라 재계는 우선 오는 15일까지 반도체를 제외한 빅딜 대상 6개 업종의 실효성있는 실행계획을 확정해야 한다.

단 이들 빅딜 대상업종의 경우 신설 기업의 순자산가치가 플러스가 될 수 있도록 계열사 지원 및 재벌총수의 지분 등 사재 출연방안.외자유치 계획 등이 포함돼야 한다.

반도체는 25일까지 경영주체 선정을 마쳐야 하며 만약 이를 어기면 여신회수 및 신규여신 중단조치가 실행된다.

한편 15일까지 체결되는 재무구조 개선약정에는 빅딜대상 업종의 실행계획 외에도 ▶회생 불가능 기업의 정리▶매각.분사 등을 통한 비주력 계열사의 분리▶자산 매각.외자유치 등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과 상호지보 해소계획이 포함된다.

신예리.표재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