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흔청춘'야쿠르트 할머니 배달25년 '쉬면 병나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우리 일엔 정년이 없어요. 할 수 있을 때까진 일해야죠. " 한국야쿠르트 서울 오장직매소의 '맏언니' 이계환 (李桂煥) 씨는 '야쿠르트 아줌마' 가 아니다.

올해 나이 칠순. 손자.손녀가 8명이나 되는 할머니다.

야쿠르트를 배달한 지 어느새 25년. 전국 1만1천여명의 야쿠르트 배달원 중 두번째로 나이가 많다.

그러나 매일 새벽 베이지색 모자와 흰색 폴라를 받쳐입고 집을 나설 때는 지금도 첫 출근 때 기분의 '야쿠르트 아줌마' 다.

매일 오전 4시10분쯤 일어나 5시30분 서울불광동 집을 나서 버스로 직장에 도착하면 6시 전후. 이때부터 정오 무렵까지 을지로3가와 인현동1가 가정.사무실 2백50여곳을 돌며 '정성' 을 배달한다.

하루 보행거리는 약 5㎞. 6백여개의 야쿠르트가 가득 든 40㎏짜리 가방을 밀며 하루같이 이 일을 해왔다.

지금까지 지구를 한바퀴 (약 3만8천㎞) 돌며 3백만여개의 야쿠르트를 배달한 셈이다.

"성실하게 잘해야지 하는 생각뿐이에요. 딸 넷 결혼식도 모두 일요일에 했을 정도니까. 넘어져서 하루 쉰 것만 아니었으면 개근하는 건데…. " 막내아들이 초등학교 2년 되던 72년, 허전한 마루를 쳐다보며 '나도 일이 있어야겠구나' 하고 생각한 후 야쿠르트 배달을 시작했다.

강산이 두번 넘게 바뀌는 동안 참 많은 것이 변했다.

25원 하던 야쿠르트가 지금은 1백10원. 쇠고기 한근에 5백30원, 신문 구독료 2백70원, 버스비가 12원하던 당시가 어제만 같다.

"요즘엔 세상이 더 빨리 바뀌는 것 같아요. IMF 이후 식구 같은 고객들이 하나 둘 없어질 땐 가슴이 아파요. " 고객이 원하는 시간에 배달하기 위해서는 보통 한 구역을 네차례 정도 뱅글뱅글 돌아다녀야 한다.

그렇게 매달 번 1백20여만원은 생활비와 외손자.손녀 과자값으로 쓴다.

남편은 물론, 이젠 어엿한 가정을 이룬 네 딸과 아직 미혼인 막내아들은 새벽같이 집을 나서는 게 안쓰러워 "그만하라" 고 합창하지만 "그만두면 병날 것 같다" 는 고집을 꺾진 못했다.

오장직매소 나세균 (28) 소장은 "아무리 어려운 일이 있어도 늘 웃고 사는 할머니가 계셔서 마음이 든든하다" 고 말한다.

요즘 李씨는 내년 2월 9박10일 동안 미국여행 떠날 꿈에 젖어 있다.

지난 22일 야쿠르트대회에서 동료 17명과 함께 근속 25년 상으로 받은 것이다.

일흔이 넘어도 땀방울이 주는 대가는 여전히 달콤하다.

정형모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