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공황은 오는가]中.EU의 대응전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폴 크루그먼 미국 매사추세츠공대 (MIT) 교수는 디플레이션 조짐을 보이고 있는 세계경제를 살려내기 위해서는 선진국들의 금리인하가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클린턴 미국대통령도 이런 시각에서 이른 시일내 신흥개발국을 포함한 주요국 재무장관회의를 열자고 제안해 놓은 상태다.

그러나 유럽쪽 입장은 영 다르다.

"미국과 보조를 맞춰 금리를 내리지 않을 것" 이라는 얘기다.

유럽중앙은행 (ECB) 빔 도이센베르흐 총재는 22일 유럽의회 통화소위원회에 출석해 "금리를 내릴 여유가 없으며, 또 그렇게 할 필요도 느끼지 않는다" 고 말했다.

그는 프랑스와 독일의 경우 "이미 금리가 미국에 비해 상당히 낮은 편" 이라면서 "금리인하가 모든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해서는 안된다" 고 강조했다.

그러나 서방선진7개국 (G7) 의장을 맡고 있는 토니 블레어 영국총리는 적극적으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22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행한 연설을 통해 블레어 총리는 "최근의 세계 경제위기는 현행 국제 금융시스템의 취약성을 보여 줬으며 21세기의 도전에 대비해 금융시스템을 현대화할 필요가 있다" 고 역설했다.

이를 위해 그는 IMF와 세계은행을 1년안에 재편하자고 촉구했다.

그는 구체적 개편방안으로 IMF정책에 대한 체계적인 외부평가와 더불어 세계 금융기구의 투명성과 개방성을 확대하고 금융감독과 규제를 더 강화할 것을 제시했다.

내년 1월 1일 유럽단일통화 '유로' 출범을 앞두고 있는 11개국도 세계경제 활성화를 위해 유럽의 금리가 '적당히 낮은 선' 에서 결정돼야 한다는 쪽으로 가닥을 잡아 가고 있다.

문제는 어느 수준이 적당하냐는 점이다.

현재 유로 참여 11개국의 금리는 최고 6.75%에서 최저 3.20% (오스트리아) 까지 큰 편차를 보이고 있어 조정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한스 티트마이어 독일 분데스방크 (중앙은행) 총재는 지난 20일 문제가 잘 풀릴 것임을 내비쳤다.

스위스 루체른에서 열린 비즈니스 포럼 연설에서 그는 유로 단기금리가 11개국중 핵심국가인 독일 (3.8%) 이나 프랑스 (3.3%) 금리 수준으로 단일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파리 = 배명복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