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시대' 일본시각]미사일 여파 정책변화 주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일본 정부는 어느 때보다 이번의 북한 최고인민회의를 주목하고 있다.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 직후 열리는데다 김정일 체제의 대내외 정책 가닥이 분명히 드러날 것이기 때문이다.

일본은 김정일 노동당 총비서가 5일 주석에 추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때 김정일이 주석이 아닌 다른 이름의 정부 수반에 오를 것이라는 관측이 돌았지만 현재는 이견이 없는 상태다.

정무원 인사의 경우 총리에는 연형묵 (延亨默.전총리) 자강도 당비서나 홍성남 (洪成南) 부총리가 유력한 것으로 점치고 있다.

또 김영남 (金永南) 외교부장은 부주석으로 승진하고 그 뒤를 강석주 (姜錫柱) 외교부 부부장이 이을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주석 취임 후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정연설 중 대외정책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본다.

미국과의 관계개선을 우선시하는 기조가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대일 (對日) 정책은 미사일 발사 후의 공식 담화로 미뤄 강경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대내정책의 경우 새 경제정책이 나올 것이라는 분석이 유력하다.

일본은 이와 함께 국가 창건 기념일인 9일 미사일 등을 동원한 대규모 군사 퍼레이드가 펼쳐질 것으로 보고 있다.

도쿄 = 오영환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