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의 신문업계] 신문산업 어떻게 살릴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위기의 한국 신문산업. 그 처방과 대안은 무엇인가. 미디어 전문가들은 몇가지 현실적인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우선 신문업계 스스로 혁신과 자정 노력이 필요하다. 문제 있는 부분은 과감하게 도려내는 개혁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자율'이 실패하면 외부의 칼이 들어올 수밖에 없다. 특히 신문 콘텐트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노력과 함께 경영.광고.마케팅도 선진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민규(신문방송학과) 중앙대 교수는 "정보가 넘치는 디지털 시대엔 결국 누가 질 높은 콘텐트를 보유.공급하느냐에 승부가 갈린다"며 "신문은 독자와의 '쌍방향 대화'창구를 더 늘려야 하고, 광고도 더 과학화된 방식으로 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미경(열린우리당) 국회 문화관광위원장도 "신문 자체의 개혁에 미흡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한 뒤 '읽기 문화'를 크게 장려하는 등의 복안을 갖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본지 7월 16일자 25면>

우리 사회에 '반(反)신문 정서'의 확산을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한국언론재단의 김영욱 정책연구팀장은 민주주의 발전에는 신문의 역할이 필수라고 전제한 뒤 "정부와 사회지도층이 (신문 때리기는 그만하고) 이성 매체인 신문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합리적 기획'에 나서야 할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한 예로 지상파와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사업에 신문사들도 적극 참여토록 해 '원 소스-멀티 유스(one source-multi use)'를 구현하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들었다.

그런가 하면 한국 신문산업에 '시장의 논리'가 왜곡없이 적용돼야 한다고 강조하는 언론학자도 많다. 장호순(신문방송학과) 순천향대 교수는 "부실 신문사에 대한 정책적 보호막이 걷히고, 신문시장에도 인수.합병 등이 활발히 일어나야 한다"며 "구조조정을 통해 과당경쟁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지난해 펴낸 '신문의 위기? 진단과 처방'(한국언론재단)에서 "신문산업이 위기를 극복하려면 정부가 정치적.정략적인 관점에서 신문을 이용하려 들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신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는 신문의 공적 기능을 활성화하고 문화산업 육성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장 교수는 이와 함께 전국지의 지방지 계열화, 신문사의 복수 신문 소유, 신문과 방송의 겸영도 '점유율 상한선'을 조건으로 허용할 때라고 지적했다. 신문사 하나를 운영하는 것으로는 미래를 기약할 수 없는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미국.일본 등의 신문기업들은 오래 전부터 일간지 복수 소유는 물론이고 방송과의 겸영을 통해 안정된 경영을 꾀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