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대북 식량지원 중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북한의 대포동1호 미사일 시험발사와 관련해 1일 일본과 국방장관 회의를 여는 등 미.일과 공조체제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3일 한.일 외무장관회담에 이어 다음주중 한.미 외무장관회담도 갖는다.

일본은 특히 이번 사태와 관련, 북한에 대한 식량지원 및 북한과의 수교교섭 중단 등 대북정책을 전면 수정하는 등 강경자세를 보이고 있다.

고무라 마사히코 (高村正彦) 일본 외상은 1일 "일본 정부는 북한을 유엔안보리에 제소하는 방안을 검토중" 이라고 말했다.

특히 대포동1호의 탄착지점 근처에는 당시 7대의 한.미.일 민항기가 운항중이었다고 가와사키 지로 (川崎二郎) 일본운수상이 밝혀 충격을 주고 있다.

우리 정부는 이날 통일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북한의 무모한 미사일 시험발사에 우려를 표명하고 대응책을 논의했다.

그러나 대북 햇볕정책의 기조는 유지해 나간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한.일 국방장관 회담 = 도쿄 (東京)에서 열린 회담에서 천용택 (千容宅) 국방장관과 누카가 후쿠시로 (額賀福志郎) 일본방위청장관은 일본이 이 문제를 유엔안보리에 회부할 경우 긴밀히 협조키로 했다.

두 사람은 빠른 시일내 이와 관련한 양국 심의관급의 실무자회담을 소집하기로 했다.

한편 홍순영 (洪淳瑛) 외교통상장관은 다음주중 미국을 방문, 매들린 올브라이트 국무장관과 북한 미사일 대처방안을 협의한다.

◇일본측 대응 = 1일 오부치 게이조 (小淵惠三) 총리 주재로 안보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대북정책 전면수정 방침을 정했다.

북한에 대해 미사일 개발 및 수출 중지를 요구하는 동시에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해 한.미 양국에 3자협의 개최도 제의했다.

가와사키 운수상은 "탄착지점 인근을 지나던 민항기들이 자칫 북한의 미사일과 충돌할 수도 있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었다" 고 말했다.

오부치 총리는 "북한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정보수집에 더 노력할 것을 지시했다" 고 밝혔다.

한편 미사일 발사 현장에 중동국가 관계자가 참석한 것으로 밝혀져 북한이 미사일을 수출할 계획을 갖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통일관계장관회의 = 강인덕 (康仁德) 통일장관 주재로 열린 회의에서는 미사일 시험발사가 우리뿐 아니라 주변국 안보에도 직접적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관련국이나 국제기구와의 협력체제 구축방안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박성훈 (朴聖勳) 통일부 정책실장은 "북한의 움직임이 대북 포용정책 추진에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면서 "그러나 화해협력 정책의 변경은 검토되지 않았다" 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주영 (鄭周永) 현대명예회장이 기탁한 옥수수 4만t도 이날 중국 다롄 (大連) 을 출발, 북한으로 향했다.

도쿄 = 오영환 특파원, 이영종. 채병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