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사태로 전자·자동차 집중타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러시아의 모라토리엄 (지불유예) 선언으로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 등 주요 품목의 대 (對) 러시아 수출과정에서 미수금이 발생하는 등 타격이 클 것으로 전망됐다.

재정경제부가 25일 품목별로 한국 상품의 수출 영향을 자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특히 외상 (延拂) 수출을 주로 해온 전기.전자제품의 경우 대금 회수에 애로를 겪을 가능성이 큰데다 루블화의 50% 평가절하로 큰 환차손까지 보게 될 것으로 분석됐다.

재경부 관계자는 "산업용 전자제품의 경우 5년에 걸쳐 대금을 분할 상환받는 등 중장기 연불수출이 많아 선수금을 제외한 이미 수출한 부분의 대금을 회수할 길이 막막한 형편" 이라고 밝혔다.

세탁기.에어컨 등 가정용 전자제품도 외상거래를 주로 해왔기 때문에 미수금 및 환차손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재경부는 내다봤다.

또 루블화의 평가절하로 러시아 국민들의 구매력이 줄어들면서 자동차의 경우 동유럽 및 러시아 지역에 대해 대량 수출목표를 세웠던 대우 (17만대).현대 (3만대) 등 국내 자동차 업체들이 주요 잠재시장을 상실하는 타격을 받게 됐다.

98년 상반기 중에 이미 자동차 수출은 전년대비 17.9% 감소했다.

그러나 식료품 및 섬유제품의 경우 대부분 현금거래 (TT) 방식이어서 미수금 건이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전망이다.

단 섬유제품의 경우 루블화 절하로 수입원가가 두배 높아지는 효과가 나기 때문에 계약파기 현상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반면 라면.음료.과자 수출이 주종을 이루는 식료품의 경우 오히려 생필품에 대한 가수요로 품귀현상이 빚어질 것이므로 수입가 상승으로 인한 수출 위축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재경부는 예측했다.

국내 기업들의 대 (對) 러시아 수출규모는 97년 17억6천8백만달러에서 98년 상반기엔 7억1천8백만달러로 크게 줄어든 상태다.

신예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