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출국 전 근원적 처방 언급 … ‘유럽 구상’ 보따리 풀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유럽 3개국 방문을 마친 이명박 대통령이 14일 귀국한다. 귀국 특별기엔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타결, 에릭슨사의 2조원 규모 한국 투자 등 큼직한 보따리가 실려 있다. 하지만 정치권과 관가의 관심은 대통령의 ‘유럽 구상’에 더 쏠려 있다. 출국 전 이 대통령은 정국 운영에 대한 ‘근원적 처방’을 언급했었다. 이 때문에 7박8일간의 유럽 순방 중 가다듬었을 개각과 청와대 개편 등의 ‘인사 구상’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달 내 전격 단행 가능성도”=당초 청와대는 “이 대통령이 이달 말께 휴가를 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때문에 ‘청와대 개편→휴가→개각’이라는 수순을 밟을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이럴 경우 새 국정 어젠다가 제시될 8·15 이전까지 인사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봤다.

하지만 13일 “이 대통령이 휴가 일정을 8월 초순께로 늦췄다”(청와대 참모)는 얘기가 흘러나왔다. 휴가 전까지 열흘에서 길게는 보름가량의 시간을 더 갖게 된 것이다. “청와대 개편과 개각을 동시 단행하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이젠 인사 시스템이 잘 돼 있어 주요 인사 검증은 거의 끝나 있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개각과 청와대 개편이 이달 내 전격적으로 이뤄질 수도 있다는 뜻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미국 방문(15~18일)에서 돌아와 사흘 만에 검찰총장·국세청장 인사를 한 적이 있다.

◆“중폭 개각론 우세…‘빅2’는 불투명”=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장관 5~6명이 바뀔 것이란 공감대가 있다”고 전했다. 수석 교체와 관련해선 청와대 내에서도 “대폭 물갈이가 있을 것”이란 관측이 흘러나온다.

이런 관측이 나오는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이 대통령의 측근들은 “진용을 갖춰 내년 6월의 지방선거 전까지 제대로 일하고 싶은 게 대통령의 마음”이라고 말한다. 한나라당에선 정·청 대폭 쇄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또 취임 1년~1년6개월을 넘긴 장관과 수석들이 상당수다. 단기간에 사람을 바꾸지 않는 이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이지만 이번엔 대폭 물갈이 인사에 대한 부담도 크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다.

문제는 상징적 의미가 큰 국무총리와 대통령실장의 교체 여부다. 이들 ‘빅2’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린다. 한승수 총리에 대해선 교체론이 우세하다는 게 중론이지만, 정정길 실장에 대해선 “연말까진 같이 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충청연대론, 정치인 입각론 등 변수로”=▶이달 내 ▶중폭 이상 인사라는 전망엔 반론도 적지 않다.

일부 참모는 “이 대통령이 인사 뒤 적응하는 데 드는 시간을 아까워한다”고 말한다. 또 “국회가 시끄러운데 인사청문회를 거쳐야 할 장관을 여럿 바꿀 수 있겠느냐”는 현실론도 거론된다. 이 때문에 인사가 지난해 6월처럼 청와대 일부 개편으로 축소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도 있다.

정치 상황도 변수다. 특히 최근 ▶충청연대론 ▶정치인 입각론 등이 급류를 타고 있다. 이런 아이디어가 현실화될 경우 인사의 시기와 폭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치권에선 하마평이 무성하다. “정무장관을 신설해 친박근혜계 의원을 앉힐 것”이란 소문이 나돌고 있다.

남궁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