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수인성 전염병 방역 점검반 투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보건복지부는 11일 지난 96년 경기도 연천지역 수해뒤 모기수가 급증했고 지난해 강화지역에서 집중호우 2주후 콜레라가 발생했던 전례에 비춰 앞으로 3주간이 수인성 전염병 발생의 고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수해지역에서 체계적 방역활동을 벌이기 위해 상주활동반 9개팀 (복지부 직원 2인1조) 과 전염병전문가로 구성된 순회점검반 3개팀을 10일부터 23일까지 운영키로 했다.

복지부는 또 부족한 현지인력.장비 지원을 위해 수해가 발생치 않은 부산.경북등 7개 시.도로부터 70개 수해방역반을 지원받아 11일 오후부터 경기 의정부등 7개지역 현지에 투입했다.

복지부는 수해지역에 ▶콜레라.장티푸스.세균성 이질등 수인성 전염병 ▶피부와 상처를 통해 감염되기 쉬운 렙토스피라증.파상풍 ▶모기를 통해 감염되는 일본뇌염.말라리아 등의 발생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침수지역의 우물물이나 지하수는 반드시 소독한 뒤에 마시고 과일.채소.식기등은 깨끗한 물이나 소독된 물로 닦아야 한다.

또 비에 젖은 이불이나 옷가지는 햇볕에 충분히 말린 후에 사용하고 설사환자는 가까운 보건소에 신고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

박태균 식품의약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