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세계 1등 품질 만들어낸 퇴직자들만의 공장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121호 01면

지난 1일 오후 고려제강 언양 공장에선 기계 가동을 멈추고 하반기 재고 조사가 진행 중이었다. 연분홍색 재고 조사표를 들고 공장을 돌아다니는 김병섭(62) 반장의 이마엔 구슬땀이 맺혀 있다. 김 반장은 “부지런히 끝내야 야간조가 작업에 들어간다”며 걸음을 재촉했다. 옆에 있던 곽진환(61)씨도 “주문이 밀려 있어 마음이 급하다”며 웃었다.

고려제강, 평균 58.7세 정규직 일터 실험

공장 어디를 봐도 머리카락 희끗한 어르신들뿐이다. 이 공장 근로자 44명의 평균 연령은 58.7세. 강길훈 공장장이 53세로 가장 젊다. 강 공장장은 “지난해 9월 언양 공장을 정년 퇴직자 전용 생산라인으로 정비하면서 은퇴한 고참들이 새로 입사한 것”이라고 소개했다.

고려제강 생산직 근로자의 정년은 만 55세. 촉탁계약을 하면 최장 3년간 더 일할 수 있다. 이것도 모자라 정년 퇴직자도 원하면 정규직으로 다시 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퇴직자 재고용은 홍영철(61) 회장의 결단으로 이뤄졌다. 언양 공장이 2007년 중국 칭다오로 설비를 이전하자 정년 퇴직자 전용 생산라인으로 만든 것이다. 홍 회장은 “노조가 93년 항구적 무파업을 선언할 정도로 회사를 믿어 줘 가능했던 일”이라며 “재직 중인 사원에게도 희망적인 메시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공장 근로자들은 주 5~6일, 3조 3교대로 근무한다. 월 급여는 150만~180만원. 한창 때 급여에 비하면 절반 수준이다. 하지만 잔업·특근을 안 하고 업무 강도도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감안하면 적지 않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월급과 별도로 실적에 따라 성과급도 추가로 준다.

근로자들의 표정은 하나같이 밝았다. 허자수(55)씨는 “한창 땐 매일 12시간씩 일했다”며 끄덕 없다는 표정이다. “(퇴직하고) 쉬는 것도 한 달 하니까 지치더라고. 약수터 가는 것도 세 시간이면 충분해. 나중엔 TV만 지키고 앉아 있는 ‘리모컨맨’이 되더라니까. 지금은 얼마나 좋은지 몰라. 실력 발휘해, 건강 챙겨. 힘이 절로 나.” 3교대 근무를 하느라 오전 6시까지 출근하는 게 힘들지 않냐고 묻자 젊은이랑 달리 새벽잠이 없어 문제없단다.

고려제강은 특수선재 분야 세계 2위 업체로 지난해 44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임직원은 700명 남짓 교량·엘리베이터·크레인용 쇠밧줄이 주 생산품이다. 언양 공장에선 자동차·복사기용 선재를 만든다. 올 매출 목표는 100억원. 강 공장장은 “지난달 192t을 생산해 생산 목표(186t)를 초과했다”며 “70%를 수출하는데 지금까지 단 한 건의 클레임도 없어 세계 최고의 품질을 자부한다”고 말했다. 이어 “납기와 품질을 강조하지 않아도 알아서 일하는 분위기”라며 “노무 관리가 필요 없다”고 했다. 홍 회장도 “아직 속단하기 이르지만 생산성이 기대보다 30% 이상 높다”고 평가했다.

언양 공장은 고령자가 불편 없이 일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배려하고 있다. 공장 안에 의무실을 두고 월 1회 건강검진을 실시한다. 천장엔 크레인 선을 거미줄처럼 연결해 놨다. 강 공장장은 “어르신들이 무게 17~30㎏짜리 제품을 쉽게 운반하도록 배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려제강은 아직 재입사 정년을 정하지 않았다. ‘체력 닿는 데까지 일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방침만 세웠을 뿐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 이호성 이사는 “퇴직자를 대거 재고용해 성과를 거두고 있는 국내 첫 사례일 것 같다”며 “평균 정년이 57.1세에 불과해 고령화 대책이 심각한 우리나라에서 언양 공장은 훌륭한 벤치마킹 대상”이라고 진단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