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잠수정서 침투장비 발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북한 잠수정에서 롯데 칠성사이다 페트병과 수중작업 장비가 발견됐다.

군 당국은 25일 오후 침몰한 북한 잠수정을 인양한 뒤 곧바로 벌인 내부 수색작업 과정에서 국내에서만 구할 수 있는 이들 음료수 병과 개방회로 잠수기를 찾아냈다.

이는 북한 잠수정의 공작원이 동해에 상륙, 침투작전을 마치고 돌아가던중 어선의 그물에 걸려 발각됐음을 강력 시사하는 것이다.

특히 96년 강릉 무장공비사건 이후에도 북한 잠수정이 우리 해안을 드나들며 대남 공작활동을 계속해온 사실을 확인해주는 것으로, 남북관계의 긴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또 우리 해상경계망이 뚫려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정부는 잠수정 내부 조사가 끝나면 군 관계자들을 문책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1차 수색작업이 끝난 이날 밤 국가안보회의 상임위원회를 소집, 발견 내용물을 분석하고 잠수정의 침투 목적과 대응책을 논의했다.

◇ 수색작업 = 해군 수중파괴대 (UDT) 와 폭발물처리반 등 대 (對) 테러요원을 진입시켜 산소용접기를 이용해 출입구 (해치) 를 열어 수색작업을 벌였다.

군 당국은 25일 "북한 잠수정에서 롯데 칠성사이다 페트병과 사각사각 복숭아 페트병이 각각 1개, 호흡기가 달린 미국제 아쿠아 잠수장비 1개, 잠수용 부츠 3켤레, 오리발 1벌이 발견됐다" 고 밝혔다.

관계자는 "잠수정이 동해안에 침투한 뒤 임무를 마치고 북한쪽으로 떠나다가 우리 어망에 걸린 것으로 보인다" 고 밝혔다.

그러나 함교부분의 1차 해치를 열어 이같은 물건을 발견했으나 안쪽에 있는 2차 해치를 열지 못해 생존자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강릉 무장공비사건때 생포됐던 이광수씨를 불러 조사해본 결과 2차 해치 안에 폭발물이 설치돼 있는 것으로 판단돼 다른 해치를 찾고 있다고 전했다.

◇ 인양작업 = 이에 앞서 군 당국은 이날 오전5시30분부터 동해항 방파제에서 1.8㎞ 떨어진 바다밑에 가라앉은 잠수정 인양작업을 재개, 잠수정을 오후3시쯤 바닷속에서 끌어올리는데 성공했으며, 오후4시45분 동해항 부두로 옮겼다.

◇ 인책 = 金대통령은 군 당국의 잠수정 예인 및 인양 작업이 차질을 빚은데 대해 관계자들을 질책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한나라당이 요구하는 千장관 경질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청와대 한 고위관계자는 밝혔다.

김민석.김현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