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한국형 닌텐도 선보이겠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6면

9일 경기도 분당스퀘어에서 열린 ‘글로벌게임허브센터’ 개소식에서 유인촌(오른쪽 첫째)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고흥길(둘째)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장이 대형 모니터를 통해 휴대용 게임기를 작동해보고 있다. [연합뉴스]

“2010년부터 한국형 닌텐도를 선보이겠다.” 지난 9일 경기 성남시 분당스퀘어에서 열린 글로벌게임허브센터 개소식에서 한국 게임 발전을 위한 청사진이 제시됐다. 이 센터는 2010년부터 한국형 닌텐도DS(휴대용 게임기)를 선보이고, 한국 게임 시장의 취약 분야인 콘솔이나 모바일 게임(스마트폰)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통해 글로벌 진출의 편식 현상을 시정해 아시아의 게임 허브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다.

지난해 5월 한국게임산업진흥원(현 한국콘텐츠진흥원)과 한국MS는 차세대 게임 사업을 공동 추진하기 위한 MOU를 맺으면서 이 센터를 개소키로 했다. 이에 따라 지난 3월 글로벌게임허브센터의 입지를 분당으로 결정했고, 17여 개 게임사가 입주했다. 이 센터는 입주업체들에게 임대료 전액 면제와 관리비 감면 같은 파격적인 혜택과 함께 다양한 기술 정보를 제공한다. 2012년까지 850억원(국고 370억원)을 들여 총 300개 업체를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유인촌 문화관광부 장관은 개소식에서 “한국은 온라인게임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그 외의 플랫폼인 콘솔과 휴대용게임기, 모바일의 스마트폰 등에서는 취약하다”며 “정부는 차세대 게임 콘텐트와 솔루션 부문의 유망 기업을 선정해 입주 혜택은 물론 신규 플랫폼(IPTV·스마트폰 등), 다중 플랫폼 관련 개발 과제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재웅 한국콘텐츠진흥원장도 “콘솔이나 휴대용(포터블) 플랫폼 기반의 콘텐트와 미들웨어(게임엔진 등)에 대한 개발 지원으로 온라인 게임에 한정된 국내 게임 산업을 확대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게임업계에서는 정부의 의지와는 별도로 한국MS의 지원이 아직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이들 업체는 “한국MS에서 운영체제(OS)나 관련 소프트웨어를 지원받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MS가 글로벌 서비스 플랫폼(GSP) 사업으로 해외에 진출하는 게임에 서버를 6개월 무상 지원하는 정도라는 의견이다. 특히 MS는 2300만 달러를 투자키로 했는데, 아직 구제적인 지원 방안을 공개하지 않았다.

박명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