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기업지분 매각 움직임]포철 경영권 방어 고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정부가 구조조정비용을 마련하는 방안의 하나로 공기업의 정부보유 지분매각을 들고나옴에 따라 대표적 공기업인 포항제철의 경영권 방어가 새삼 고민으로 떠오르고 있다.

포철은 현재 정부 지분이 33.3% (정부 9.3%, 산업은행 24%) 인 반면 외국인 총 지분이 25%에 달해 정부 지분을 국내외에 매각할 경우 M&A (인수.합병) 시도에 무방비로 노출, 경영권 방어대책이 절실한 입장이다.

이에 따라 산업자원부 등도 연구에 들어갔고 포철도 정부 지분의 매각을 전제로 이미 태스크 포스 (T/F) 팀을 구성하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여러 곳에 제시해 놓고 있다.

현재까지 포철에서 연구한 방안은 ▶핵심주주그룹의 구성 ▶일본 신닛테쓰 (新日鐵) 와 협력 ▶골든 셰어 (Golden share) 제 도입 등 세 가지다.

◇핵심안정주주그룹의 구성 = 산자부와 포철에서 집중 검토하고 있는 방안이다. 정부 보유 지분을 매각할때 민간 기관투자자들이 일정 지분을 공동인수해 안정적 주주그룹을 형성함으로서 외국인의 M&A 시도를 막자는 것이다.

포철은 최근 산자부에 조흥은행을 포함해 일부 우량은행, 투자신탁회사, 사업상 연관성이 깊은 한전 등으로 핵심안정주주그룹을 구성해 10%~15% 가량의 지분을 인수함으로서 경영권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신닛테쓰와 협력 = 정부와 사전교감 없이 포철쪽에서 검토중이다. 유상부 (劉常夫) 포철회장이 최근 이마이 다카시 (今井敬) 신니테쓰회장과 만나 논의한 상호 1%씩의 지분을 공유, 이를 통해 적대적 M&A 등 경영권 침해때에 대비하고 양사간 협력을 강화하자는 구상이다.

포철은 19일 "정부의 민영화 방안이 확정되는 시점에서 이 방안을 놓고 정부와 협의할 것" 이라고 밝혔으나 정부측은 소극적이다. 그러나 산자부는 이 안에 대해 "포철이 오너 회사처럼 회장 마음대로 처리할수 있는 회사가 아니며 세계 1위인 신닛테쓰와 2위인 포철이 협력관계를 맺을 경우 프랑스의 유지노, 독일의 티센등 다른 철강업체들이 견제해 올 수 있다" 고 지적했다.

◇골든 셰어 (Golden share) 제 = 이규성 (李揆成) 재정경제부 장관이 국회답변에서 밝힌 방안으로 정부는 특별주 단 한 주를 갖고 ▶일정 부분 이상의 중요자산 매각 ▶동일인의 일정 지분이상 주식소유에 대해서는 거부권을 갖게 관련 법규를 개정한다는 것. 영국의 브리티시 스틸이 93년까지 5년간 한시적으로 이 제도를 활용했다.

그러나 상장 공기업인 포철에 이 제도를 도입할 경우 기존 주주의 이익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다는 측면에서 위헌 소지를 일부에서 제기하고 있다.

박영수.이재훈 기자

〈yspar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