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 여당 40일]당운영비 얼마나 드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국민회의의 여당 변신은 재정부문에서도 두드러진다.우선 씀씀이가 크게 늘었다.

여당으로서 '품위유지' 를 위해 불가피한 부분이 많다.현재 1백50명 수준인 사무처 당직자 수가 늘어나게 됐다.

정책.홍보.조직 등을 늘렸기 때문이다.집권 전 6개층을 임대해 쓰던 당사도 최근 9개층으로 확장했다.

민원인 등 내방객이 폭주하고 정책조정활동이나 각종 위원회활동 등 회의비도 크게 늘었다.이 뿐만 아니다.

당이 성의표시를 해야 하는 행사와 기관.단체 수가 크게 늘어났다.

각 기관.단체에서 요구하는 티켓 판매나 행사 찬조금도 야당시절과는 비교할 수 없을만큼 많아졌다.

정균환 (鄭均桓) 사무총장은 "당직자들의 봉급을 올려줘야 하고 지출도 크게 늘었지만 재정 확보가 쉽지 않다" 며 고충을 털어놨다.

당직자들은 "여당이 됐는데도 살림살이는 야당때와 달라진 게 없다" 고 불평이다.국민회의 당직자 연봉은 1천8백만원선 (1급 국장기준) .자민련 2천1백만원, 한나라당 (여당시절) 4천8백만원에 비해 턱없이 적다.

야당시절 국민회의가 한달에 쓰는 돈은 평균 10억원 정도로 알려졌다.임대료 (3천만원).인건비 (3억원).지구당운영 보조금 (2억7천만원)에다 홍보.인쇄비.회의비 등을 합친 금액이다.

수입은 총재.부총재.고위 당직자 등 간부들이 내는 직책당비 월 1억원, 국고보조 6억원 등을 합쳐 7억원 내외. 선거때는 의원.당무위원 등에게서 특별당비를 거두거나 당 후원회를 통해 모금해 충당하곤 했다.

그러고도 모자라는 돈은 김대중총재가 메워왔다.

여당이 된 지금은 어떤가.우선 총재의 자금지원이 끊겼다.월 1천만원의 직책당비만 낼 뿐이다.

여당이 독식하던 지정기탁금은 지난해 국민회의측의 요구로 폐지됐고, 여당의 자금줄이던 재정위원도 없다.

金대통령이 "당비와 국고보조금만으로 당 운영을 하라" 고 엄명을 내렸기 때문. 당 관계자는 "대선 후원금 잔여금 (10여억원 가량) 이 있어 간신히 빚은 면한 채 버티고 있지만 아직 여당 활동비가 얼마나 들지도 예측할 수 없다" 고 엄살섞인 고민을 털어놓았다.당직자들의 봉급을 현실화해줘야 하고 임대료 등 고정비용 증가분 등을 감안하면 야당시절보다 2~3배 정도 지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그래서 '여당체제' 가동을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에 부심중이다.중앙당 후원회가 검토되고 있다.

중앙당 후원회는 연 3백억원, 선거가 있는 해에 한해 6백억원을 모금할 수 있도록 돼 있어 어느정도 재정난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치자금 지원을 제의해오는 기업들도 창구가 없어 내지 못하고 있는 만큼 효과가 있을 것이란 생각이다.

전당원 당비 납부운동도 검토중이지만 별무 효과임을 알고 있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