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내분봉합 배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분당설까지 나돌던 한나라당 내분이 전격 수습됐다.

기세등등하던 당권파와 비당권파간의 대치양상을 감안하면 의외다.

그래서 대타협의 배경에 관심이 모아진다.

난산을 거듭하던 당권파와 비당권파간의 절충은 지난 2일을 기점으로 전환점에 접어들었다.

이날 당권파의 한 핵심인사는 비당권파인 이회창 (李會昌) 명예총재측과 만났다.

이 자리에서 '당이 깨져선 안된다' 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한다.

그러나 이때만 해도 타협전망은 반반이었다.

역시 결정적 계기는 4.2보선 결과. 2일 밤 4개 지역 전승이라는 결과에 당내갈등의 수습논의도 급류를 탔다.

3일부터 양측의 대화채널은 동시다발적으로 가동되기 시작했고 야권을 흔들어대던 정계개편론은 수면 밑으로 가라앉았다.

집중적인 설득대상은 李명예총재. 서청원 (徐淸源) 사무총장이 당권파를 대표해 중재에 나섰다.

이기택 (李基澤) 고문과 김덕룡 (金德龍) 의원 역시 李명예총재측을 설득했다.

여기에 중도파인 중진의원들 20여명은 3일 밤 집단모임을 갖고 '당 결속' 을 결의함으로써 양측의 중재에 한몫했다고 한다.

결국 비당권파는 '6월 지방선거 이후 총재경선' 이라는 중재안을 수용했다.

양측의 득실계산도 흥미로운 부분이다.

크게 봐서 당권파는 실리를, 비당권파는 명분을 챙겼다고 볼 수 있다.

우선 조순 (趙淳) 총재 등 당권파는 10일 전당대회에서 법통을 재인정받아 6월 지방선거를 주도적으로 치를 수 있게 됐다.

지방선거 후보 공천권도 갖게 됐다.

반면 비당권파는 총재 경선을 보장받게 됐다.

당헌당규 개정안에 관련내용을 명문화했다.

무엇보다 이번 협상으로 민주당과의 합당 당시 총재임기 2년보장 약속을 합법적으로 파기할 수 있게 됐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