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봄 남성 컬러셔츠 IMF풍 점잖은 색 강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봄이 성큼 다가오면서 거리엔 단정한 정장 속에 컬러셔츠로 포인트를 준 멋쟁이 남성들이 늘고 있다.

톡톡 튀는 원색셔츠가 유행했던 지난해와는 달리 올해는 경기 불황 탓인지 은은한 파스텔색상이나 회색이 가미된 차분한 이중색 셔츠가 주된 경향. LG패션정보실의 전영미실장은 "컬러셔츠는 겉옷의 스타일이나 머플러.남성용 넥클리스 등 액세사리로 다양한 변신이 가능하다" 며, "일본에선 감색정장에 옅은 파란색 셔츠가 비즈니스맨의 기본복장으로 여겨질만큼 흰색 와이셔츠보다 더 단정한 분위기도 연출 수 있다" 고 설명한다.

우선 컬러셔츠는 겉옷이나 넥타이를 동색계열로 조화시키는 것이 유치한 느낌을 피하는 기본. 베이지색 기본정장에 아이보리색이나 밝은 핑크색 셔츠를 받쳐입고 갈색이나 짙은 자주색 넥타이를 맨다든지, 짙은 회색 정장에 회색톤이 느껴지는 자주색이나 녹색의 셔츠.넥타이를 입으면 그리 튀지 않으면서도 화사하고 세련돼 보인다.

이때 넥타이는 무지가 무난한데 겉옷과 셔츠 모두 무지일때는 잔무늬가 있는 것으로 변화를 주는 것이 좋다.

커다란 무늬는 요즘 기피하는 추세지만 사선무늬의 넥타이는 사회초년생에겐 단정한 느낌. 또 줄무늬도 동색계열로 줄간격만 잘 조절하면 겉옷과 셔츠 모두 줄무늬라도 상관 없다.

즉 겉옷이 넓은 줄무늬라면 셔츠는 좁은 줄무늬로 입는 것. 대신 넥타이는 반드시 동색 계열의 무지나 아주 잔무늬의 것을 매야 산만한 느낌을 주지 않는다.

셔츠의 색상은 개인의 피부색도 고려해서 구입하는 것이 요령. 일반적으로 동양인에게는 붉은 색계열이 가장 잘 어울리지만 이때도 강렬한 원색은 피하도록 한다.

옅은 파란색도 누구에게나 무난하다.

얼굴색이 검은 남성에게 노란색은 금물.

김정수·장정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