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지방선거 누가 뛰고있나]97대선득표로 본 판세…경제청문회 변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16개 시.도지사를 두고 격돌하는 여야의 승패 전망은 어떨까. 일단 지난해 대선에서 나타난 지역별 민심을 통해 대강의 윤곽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중앙선관위 집계를 근거로 따져보면 국민회의.자민련연합, 한나라당은 각각 5곳과 6곳에서 우세 가능성이 있다.

5곳은 접전지역으로 분류된다.

공동정권에 대한 지지가 압도적인 지역은 광주 (97%).대전 (45%).충남 (48%).전북 (92%).전남 (95%) 등. 한나라당 지지율이 높았던 곳은 부산 (53%).대구 (73%).울산 (51%).강원 (43%).경북 (62%).경남 (55%) . 지지율 격차가 한자릿수인 접전지역은 서울 (국민회의 45% - 한나라당 41%).인천 (39% - 36%).경기 (39% - 36%).충북 (37% - 31%).제주 (41% - 37%) 등이다.

역시 '서여 (西與) - 동야 (東野)' 현상이 두드러진 가운데 중부권이 지방선거의 승부처가 될 것이 예상된다.

그러나 대선후보에 대한 선호도와 정당 선호도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각 시.도에 출마하는 후보자 개인에 대한 선호 변수를 절대로 무시할 수 없다.

IMF 위기상황도 큰 변수다.

때문에 대선득표로만 시.도지사 선거를 전망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결국은 정국의 분위기가 어느 쪽에 유리하게 돌아가느냐가 결정적 변수다.

여권은 그런대로 경제위기를 잘 풀어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반면 정국운영상의 여러 문제점을 지적하는 소리들이 있고 그것은 한나라당에 유리한 국면을 조성시킬 수 있다.

그래서 여권은 경제청문회로 정국을 주도할 생각이다.

지난 대선에서 전국적으로 5백만표 가까이 얻었으면서도 시.도 단위로는 1위한 곳이 없어 갑갑해 하는 국민신당은 타 정당과의 제휴를 모색중이다.

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