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국대학 부도 원인·파장…재단·학교 회계 분리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국내 대학 사상 처음으로 6일 최종 부도라는 극한 상황을 맞은 단국대 (총장 曺章煥) 는 초상집 분위기에 빠졌다.

단국대 재단측은 이날 밤 긴급 이사회를 열고 부도에 따른 대책을 논의하고 빠른 시일안에 대학을 정상화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기로 결의했다.

이와 관련, 단국대 관계자는 "재단측이 현재 2조원대의 수익용 기본 재산을 보유하고 있어 흑자 도산에 가까우며, 따라서 수습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 이라고 주장했다.

교육부 관계자도 "학교재단은 기업과 달라 부채만 갚으면 학교운영 자체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 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지원이 어려운데다 부동산 매각과 부채청산이 늦어지면 교직원 임금.학교 운영경비 등을 조달하기 어려워 단국대 자체가 흔들릴 가능성도 크다.

단국대가 대학 부도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를 맞게 된 것은 재단의 방만한 운영과 의과대학 신설, 캠퍼스 이전 등 무리하게 확장사업을 벌였기 때문이라는 것이 대학관계자들의 지적이다.

단국대는 이같은 사업을 위해 서울한남동 캠퍼스부지를 주택조합에 매각, 자금을 확보하려 했으나 아파트 건립의 전제조건인 형질변경과 풍치지구 해제가 무산되면서 자금난에 봉착했고 이것이 부도의 직접적인 원인이 됐다.

이 과정에서 지난해 11월 한남동 캠퍼스의 형질변경을 추진하다 유령회사의 사기사건에 휘말려 2백50억원을 날렸고 94년에는 한 업체와 풍치지구 완화 조건으로 한남동 캠퍼스의 매각계약을 체결했다가 끝내 풍치지구 제한이 풀리지 않아 위약금 등으로 4백억원을 날렸다.

단국대는 88년 충남 천안캠퍼스에 의과대학 신설인가를 받아 1천5백억원을 투자했고 96년 7월에는 경기도용인의 32만평 부지를 사들여 새 캠퍼스 기공식을 갖는 등 막대한 자금을 쏟아부은 상태였다.

게다가 91년에도 서울서초구내곡동의 부동산 24만여평을 급매물로 공시지가 수준의 싼 값에 넘겨 막대한 손실을 입기도 했다.

오대영·정제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