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후 한달 '불량 만두' 파동] 26개사 중 9개 업체는 무혐의 판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9면

지난달 6일 경찰청은 W식품이 폐기해야 할 단무지를 폐우물 등에서 퍼낸 오염된 물로 씻어 국내 25개 식품업체에 납품했다며 W식품 대표 이모(61)씨를 수배했다고 발표했다. 언론은 '쓰레기 만두'유통이라고 보도했고 시민들은 충격에 빠졌다.

경찰 발표 이후 6월 한달간 전국이 분노에 휩싸였다. 식품안전에 대한 정부의 느슨한 대응에 국민의 질타가 쏟아졌고 한 해에 약 30억개(2130억원어치)가 팔리던 냉동만두 시장이 한순간에 무너졌다.

발표 다음날인 7일 오후 식의약청이 25개 업체 중 일부의 실명을 홈페이지에 올렸다가 삭제했다. 시민들이 명단을 공개하라고 압박을 가하자 식의약청은 10일 불량 무말랭이를 사용해 만두를 만든 18개 업체 명단을 공개했다. 조사 과정에서 1개 업체가 추가로 적발돼 모두 26개 업체로 늘어났다. 여기에 CJ 계열사가 있는 것으로 드러나 파문은 확산됐다.

13일에는 문제업체로 거명된 한 업체의 사장이 "자식들에게도 먹이던 만두인데 '쓰레기'라는 오명은 벗고 싶다"는 유서를 남긴 채 자살했다.

식의약청은 10일 부평 천일식품, 11일 취영루, 15일 금흥식품.동일냉동식품 등은 혐의가 없다고 발표했다. 조사가 부실한 상태에서 서둘러 발표했다가 해당 기업들에 피해를 준 꼴이 됐다. 또 22일에는 개원식품.나누리식품 등 5개 업체에 대해 "증거를 찾을 수 없다"며 사실상 무혐의 판정을 내렸다. 이로써 총 26개 업체 중 17개사가 불량 무말랭이를 사용한 혐의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W식품의 이 대표가 잡히지 않아 이들에 대한 경찰의 수사가 진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6월 22일 ▶불량식품 신고포상금 1000만원으로 증액 ▶집단소송제 도입 등 44가지의 유해식품 근절대책을 내놓았지만 소비자들의 불안은 가시지 않고 있다.

박태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